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숙련의 사회적 구성과 구별짓기: SW 개발자 집단 내부의 이질적 경력서사에 대한 연구 (Social Construction of Skill and Distinction Heterogeneity in Career Narratives of SW Engineers in Korea)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21.06
41P 미리보기
숙련의 사회적 구성과 구별짓기: SW 개발자 집단 내부의 이질적 경력서사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산업노동학회
    · 수록지 정보 : 산업노동연구 / 27권 / 2호 / 91 ~ 131페이지
    · 저자명 : 노성철, 이찬우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SW 개발자 집단 내부에서 나타나는 이질성의 동학을 숙련 개념을 중심으로 파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서 IT 산업 종사자 62명과의 심층면접조사를 통해서 SW 개발자들의 경력서사를 분석했다. 구체적으로 ‘사람이 사는’ 제도주의의 이론틀을 사용하여 SW 개발자들의 전문직 정체성의 형성에 있어서 개인적ㆍ조직적ㆍ제도적 요인들이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경력서사 분석을 통해 이해하고자 했다. 먼저, 창의계급의 전형적인 특징이 녹아든 SW 개발자들의 지배적 입직서사를 그것의 규범적 성격에 초점을 맞춰 서술했다. 입직서사에 이어지는 숙련개발서사는 IT 아웃소싱과 IT 서비스 가치사슬에 따라서 고난극복서사와 자아실현서사 두 가지 형태로 나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리는 두 가지사슬 숙련개발서사의 구조적 차이를 분석했고, 각 서사 안에서 숙련이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끝으로, 이질적인 숙련의 정의가 SW 개발자 집단 내부의 계층화로 이어지는 과정을 분석했다. 결론에서는 그러한 분석결과가 전문직 노동자 집단 내부에서 일어나는 숙련의 사회적 구성, 능력주의와 불평등의 생산에 대해 갖는 이론적 함의를 논한다.

    영어초록

    Departing from previous studies that see creative workers as homogeneous, the present study aims at understanding the dynamics of heterogeneity within them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notion of skill in knowledge labor. To do so, we shed light on SW engineers whose occupational identity embodies the duality of a creative entrepreneur and workers. Though in-depth interviews with 62 IT workers, we constructed career narratives of SW engineers in Korea and analyzed how individual, organizational and institutional factors interact witn one another to shape collective identity as a professional, creative worker. We first present the dominant narrative of career entry which entails the typicality of creative class. The narratives of skill development could be categorized into two types – the narrative of hardship and self-realization which emerged dominant in the value chain of IT outsourcing and service, respectively. We analyzed the structural different of the two narratives and examined how skill was socially constructed in each narrative. Finally, we explored how differing definition of skill leads to the stratification within the occupation. In the conclusion, we discus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 of our finding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