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서양 지리학과 동양인식 ─ 20세기 전환기 동아시아를 지리적으로 위치짓기 ─ (Western Geography and his Locating East Asia fin-de-siècle)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12.06
30P 미리보기
서양 지리학과 동양인식 ─ 20세기 전환기 동아시아를 지리적으로 위치짓기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아시아문화연구 / 26권 / 91 ~ 120페이지
    · 저자명 : 이진일

    초록

    유럽인이 자신들을 동쪽의 타자로부터 구별하는 지리적 통일체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아시아라는 이름이 만들어졌음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아시아는 유럽이 자기를 표상하고 유럽을 다른 지역과 구별하기 위한 용어였다. 그렇다면 유럽인들은 아시아를 어떻게 경계짓고 구획하였는가? 동아시아의 역사에 대한 지식이 유럽사회에 전해지고 동아시아와 관련된 사고가 생기기 시작하는 것은 16, 17세기 기독교 선교사들에 의해서였다. 뒤늦게 열강들과의 식민지 경쟁에 뛰어든 독일은 처음에는 경제적 이슈, 즉 원료와 시장에의 접근을 목표로 하였으나, 1884년 토고와 카메룬등 아프리카 지역에 보호령을 확보함으로써 명백히 제국주의 국가로의 길을 걷게 된다. 이들 식민주의자들에게서 지식은 권력으로 받아들여졌으며, 나아가 ‘지리적 지식은 세계권력’으로 받아들여졌다.
    그들이 보기에 다양한 형태로 드러나는 전제주의가 아시아 문명의 정신적 마비의 주된 원인이었으며, 유럽인들은 필요하면 무력을 동원해서라도 이 필연적인 몰락에 처한 아시아를 도와야 했다. 이처럼 비록 아시아라는 개념이, 타자를 매개로한 유럽인들의 자기정체성 구축의 과정에서 처음 만들어진 것이기는 하였지만, 이 한 가지 담론으로만 아시아라는 구성이 지탱되었던 것은 아니었고, ‘상상의 지리’로서의 아시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리학 내에서 지속적으로 사회 다윈주의나 환경 결정론과 같은 지리학 내의 ‘과학적’ 담론이 인류학, 민속학, 역사학 등 주변 분과학문으로의 서술영역의 지속적 확대와 교류가 자리하고 있었다. 동아시아를 규정짓기 위해서 지리학자들은 첫째, 아시아에 대한 지리적 경계를 이론적으로 만들어 내고, 둘째, 식민주의, 사회적 다윈이즘, 환경 결정론 등에 기반을 둔 이론을 만들어 나가며, 세 번째로 인류학, 민속학, 역사학, 경제학 등등으로 식민지에서의 자신들의 연구 범위에 주변 분과 학문들을 포함시켜 지리적 연구의 경계를 확대시켜 나간다.

    영어초록

    The Idea of Asia comes not from Asian himself, but from European. For an European identity and self-consciousness required ‘the others’. The idea that East Asia as a region evolved in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in Europe. In the 1870s the german scholar Friedrich Ratzel argued that similar environments manifested similar historical development, and such similarities were due to not race but to environment. He invented a concept “anthropogeography”, which based on the principles of evolution, and placed the geography on a secure scientific basis. He placed three concepts of ‘space’, ‘movement’ and ‘location’ in the foreground as geographical basic concepts. Between Geographers and the colonial administration existed strong ties. Colonial geography in 19th century continued to shape the production of knowledge in the world and academics and politicians accepted the geographical borders, which created by colonial rule. Geographers strengthened colonial movement to gain public prestige and establish themselves as a respected academic discipline. The term ‘East-Asia’ gained currency because of the economic development in this region now. We can have two possible directions for imagining Asia. 1) draw upon the institutional experiences of Asian cultural coexistence to develop new models. and 2) form multilayered, open social organizations and networks linked through regional connec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아시아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