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레거시미디어와 청와대 국민청원제도의 공중의제 대응방식 및 실효성에 관한 연구: 의미연결망분석 및 연결망군집분석을 통해 (Research on the response of public agenda and effectiveness of legacy media and blue house’s ‘People’s Petition System’: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SNA) and network cluster analysis(CONCOR))

4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22.12
43P 미리보기
레거시미디어와 청와대 국민청원제도의 공중의제 대응방식 및 실효성에 관한 연구: 의미연결망분석 및 연결망군집분석을 통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 수록지 정보 :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 67호 / 115 ~ 157페이지
    · 저자명 : 남경덕

    초록

    본 연구는 미디어의제와 공중의제 형성과정의 선행 및 인과관계를 고찰하는 연구로, 1972년 의제설정이론(agenda-setting theory)을 토대로 2006년 제시된 레거시미디어(언론)의 의제 선정 역할 변화를 다룬 역의제설정이론(reversed agenda-setting)을 빅데이터를 이용해 검증하는 데 의의를 두고 있다. 나아가 문재인정부의 임기가 끝남에 따라 ‘국민청원제도’의 주요 청원 내용을 데이터로 풀어냄으로써 본 제도의 의의 및 실효성을 고찰하는 데 연구목적이 있다. 분석의 기본구조는 레거시미디어에서 다루지 않았거나, 미비하게 다뤄진 의제 중 국민청원제도를 통해 다시 한번 활발하게 다뤄진 청원(의제)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이 과정에서 국민이 발화한 의제가 다시 레거시미디어에서 주요의제로 다뤄지는 양상을 ‘역의제설정’ 과정으로 정의하고 관련 청원의 내용, 뉴스 기사를 수집해, UCInet를 이용 SNA(의미연결망분석)와 CONCOR(연결망군집분석)를 통해 분석 및 결과 도출하였다. 추가로 각 레거시미디어사의 정파성에 따른 보도내용에 차이가 있는지 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4대 주요 언론사의 보도내용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레거시미디어에서 미비하게 다뤄졌던 의제들이 국민청원제도를 통해 재차 화제(동의)를 얻어 공중의제로 발전되었을 때, 레거시미디어 역시 재차 의제로 선정하는 것을 확인했으며, 이 과정에서 레거시미디어 정파성에 따라 보도 내용의 차이가 있음을 역시 확인하였다. 해당 결과를 통해 김성태, 이용환(2006)의 연구에서 주장된 ‘레거시 미디어의 역의제설정’ 현상을 통계적으로 검증하고 그 매개체로써 ‘국민청원제도’가 효과적으로 운영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코로나 시대를 거치며 미디어 군집화 현상 및 집단 갈등이 어느 때보다 심각해진 지금, 정부 주도의 공식적인 의제 발화플랫폼이 국민의 공중의제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수용하고 있는지 볼 수 있는 연구이자 국민 의제의 중요성을 알리는 작은 계기로서 연구의 결과가 해석되길 바라는 바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review the antecedent and causation of the formation process of media agenda and public agenda. With the use of big data, it is essential to statistically verify the ‘reversed agenda setting’ theory suggested in 2006, which deals with the role change of legacy media by comparing the ‘agenda setting theory’ suggested in 1972. As President Moon Jae In’s period ends, this research aims to transform petitions collected from the ‘National Petition Program’ into a data The selected basic structure of this analysis were agendas that were originally not or were poorly addressed by legacy media, but re-handled through the ‘National Petition Program’. Through the process, the agendas were defined into the ‘reversed agenda setting’ process to draw the result of data collected from the petitions, and articles through UClnet, SNA, and CONCOR. According to the research, when the ‘poorly addressed agendas’ developed into public agendas, gaining attention through the ‘National Petition Program’, were rehandled in legacy media. In this process, the research also found out that there is an existing difference in the releases and actual agendas caused by the political characteristics of legacy media. The result statistically proved the ‘reversed agenda setting’ theory raised by Yonghwan Lee (2006) and proved the efficiency of the ‘National Petition Program’. While the conflicts between groups are getting severe due to the media clustering and hate speeches, as we are living in the era of COVID, I hope this research to be analyzed as the chance to reveal how efficiently nations are accepting the public agenda platform led by the government and the importance of ‘National Petition Progra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