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어린이집 교사가 경험한 유아의 까다로운 식습관 인식 및 지도의 어려움에 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Recognition and Difficulties in Guidance of Picky Eaters Experienced by Childcare Center Teachers)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21.04
16P 미리보기
어린이집 교사가 경험한 유아의 까다로운 식습관 인식 및 지도의 어려움에 대한 질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21권 / 7호 / 365 ~ 380페이지
    · 저자명 : 박신영, 엄미향, 계승희

    초록

    본 연구는 교사가 까다로운 식습관을 갖고 있는 영아를 대상으로 올바른 식습관 형성을 위해 교사 자신의 반성적인 성찰을통한 지도 방안들을 적용 실천하는 과정에서 영아와 교사 그리고 부모가 함께 변화할 것을 기대하며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것에 목적이 있다. 서울시 S구 소재 A국공립 어린이집의 만 2세반 영아 중 까다로운 식습관을 가진 영아 4명을 선별하여 2020년7월부터 12월까지 약 6개월 동안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들의 하루일과, 간식과 점심시간을 동영상 촬영 후 전사하였으며, 식습관 지도의 모습 및 영아들의 식습관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상황들과 지도의 어려움에 관한 참여관찰, 동료교사와의심층면담, 학부모 면담 등의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영아의 까다로운 식습관 인식은 음식에 대한 지속적인 거부, 새로운 음식에 대해 강한 부정, 제한된 음식 섭취, 음식을 거부하는 다양한 행동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까다로운 식습관 지도의 어려움은 교사의 여러 역할 수행에 대한 부담감, 유아의 가정 연계지도 및 유아의 개별적 맞춤지도의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식습관 지도 전략 및 반성적 고찰을 통해 영아, 교사 및 부모에게 긍정적인 변화가 일어났다. 영아의 식습관 지도는 교사 자신에 대한반성적인 태도와 가정 연계가 이루어지도록 식습관 지도에 대한 인식과 방향에 대해 제언하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ways to bring about positive changes in infants, teachers, and parents during the process of providing eating behavior guidance in light of the teachers’ self-reflection of the experience of trying to inculcate proper eating behavior in infants who are picky eaters. This study was conducted between July and December 2020 at “A” public childcare center in “S”-gu of Seoul, where four 2-year-old toddlers displaying picky eating behaviors were selected and observed. We filmed and transcribed the daily routines and snack and lunch time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we also collected and analyzed data on the following: participatory observations of eating behavior guidance, various situations and difficulties that arise when dealing with infants’ eating behaviors and providing guidance, in-depth interviews with co-teachers, and interviews with parents. The picky eating behaviors of infants can be classified as continuous rejection of food, strong refusal to eat new food, limited consumption of food, and a variety of actions rejecting food. Furthermore, the difficulties in providing guidance for picky eating behaviors included teachers feeling burdened by having to perform various roles, lack of continued guidance at the infant’s home, and need for individualized guidance for each infant. Lastly, positive changes took place among the infants, teachers, and parents through strategies for teachers on providing guidance on eating behavior and reflective reviews. Recognizing picky eating behaviors and directing the provision of guidance are necessary measures; moreover, the teachers should be self-reflective, and the guidance should be practiced at home as wel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