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종 연간 대명외교와 『황화집』 간행의 정치적 성격 - 관각문인의 문학과 외교 활동을 중심으로 - (The Political Nature of Diplomacy toward Ming and Hwanghwajip Pulication in the Early 16th Century’s Joseon: Focusing on Literature and Diplomacy of the Literary Officials)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22.04
30P 미리보기
중종 연간 대명외교와 『황화집』 간행의 정치적 성격 - 관각문인의 문학과 외교 활동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藏書閣 / 47호 / 96 ~ 125페이지
    · 저자명 : 노경희

    초록

    본고는 중종 연간 세 차례에 걸쳐 이루어진 명나라 사신 접반 활동과 그들과의 수창시를 모아 엮은 『황화집』 편찬에 주목하여, 명과 조선의 정치 상황과 외교 활동이서로 어떻게 영향을 끼치는지, 그리고 이 시기 『황화집』 간행이 지니는 정치적 의미를궁구한 것이다. 16세기 전반기 중종 연간에 일어난 명나라 황제의 교체, 훈구 대신과사림 혹은 대신과 삼사의 정치적 대립, 문장으로 입신한 관각문인들의 흥성과 쇠락등의 여러 사건들을 다각도로 검토하고 이 시기 『황화집』 편찬이 지니는 의미를 심층적으로 분석하였다. 『황화집』은 명나라 사신과 교환한 시를 모아 그들에게 선물하기위해 만든 책이라는 점에서 태생적으로 ‘정치적’ 목적과 의도를 지닌 것이었다. 이 시기에는 모두 3차례 『황화집』을 편찬하였고, 그 분량이 다른 시기와 비교할 때 매우많았다. 중종 시대는 다양한 정치 세력 간의 대립이 격화된 시기로서, 이 시기 문인들은 반복되는 정치적 갈등 속에 자신의 앞날을 예측할 수 없었다. 대명외교를 최우선정책으로 펼친 중종의 의도에 따라 관각문인들은 뛰어난 문장력을 바탕으로 사행과접대라는 외교 활동의 공간에서 불안한 자신의 정치적 생명을 보전할 수 있었다. 이시기 『황화집』은 외교와 정치 기록물로서 『황화집』의 본질적인 성격이 가장 충실히구현된 것이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the political aspect of Hwanghwajip (皇華集) was studied by examining how political and diplomatic policies of both Ming (明) China and Joseon Korea influenced each other, with focus on Korea’s receiving Chinese envoys during the period of King Jungjong (中宗). In the early 16th century, there were a change of emperor in the Ming Dynasty while Joseon was suffering political turmoil characterized by the rise and fall of the literary officials. That was reviewed in this paper from various angles. And the significance of Hwanghwajip publication during the period was also analyzed in depth. In this period, Hwanghwajip was compiled three times and the amount was thus very large compared to the editions published in other periods. Hwanghwajip was made with political purposes and intentions from the beginning as it was an anthology of poems to be presented to Ming envoys. The era of King Jungjong was a period in which conflict between various political forces became more intense than any other era, and thus literary officials of that time could not predict their future in the repeated political conflicts. However, due to King Jungjong’s intention to put diplomacy toward Ming as the top priority, officials of literary talents were able to maintain their political life in the diplomatic realm, receiving Chinese envoys with their excellent writing skills. As such, literary exchanges with Chinese envoys and the publication of Hwanghwajip were of utmost importance to them. The essential character of Hwanghwajip as a diplomatic and political documentary was most fully embodied in its edition published during this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