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데이터로 읽는 풍계 명찰의 유람과 기행시 -『풍계집』 소재 「蠧會遊翫錄」을 중심으로 (Reading the Travel and Travel Poetry of Punggye Myongchal through Data Analysis : Focusing on Dohwoe Yuwanrok in Punggyejip)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25.04
38P 미리보기
데이터로 읽는 풍계 명찰의 유람과 기행시 -『풍계집』 소재 「蠧會遊翫錄」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남도문화연구 / 54호 / 43 ~ 80페이지
    · 저자명 : 곽미라

    초록

    본 연구는 조선 후기의 승려 楓溪 明察(1640~1708)이 남긴 기행시 모음집인 「蠧會 遊翫錄」을 대상으로, 그의 유람과 求道의 과정이 시 속에서 어떻게 형상화되었는지 데이터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조선 시대의 유람 기록은 대체로 유가 문인들의 학문적 연찬과 호연지기를 기르기 위한 것으로, 한 승려가 오랜 기간 전국을 유람하고 다량의 기행시를 남긴 경우는 매우 드물었다. 이런 점에서 풍계의 기행시는 이 시기 유람 문학의 독특한 사례라 할 수 있다. 그는 십여 년간 관동, 호서, 기내 지역의 명산과 사찰을 유람하며느낀 감상과 깨달음의 과정을 135제 152수의 기행시로 기록하고 직접 한 권의 책으로엮었다. 그러나 아직까지 「두회유완록」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풍계 기행시의 제 양상과 특징적 면모를 파악하고, 기행시에 내재된 유람의 의미를 다각도로 고찰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의 접근을 시도하였다. 우선, 「두회유완록」에 수록된 2편의 서문을 토대로 이 책의 구성을 파악하고 풍계가 평소 산수벽이 있는데다가 ‘氣志 함양’, ‘先覺의 참방’을 위해 유람을 떠나게 되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풍계집』 전체를 대상으로 공간·시간·인물 등 주요 지식요소를 추출하고 도출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풍계의 연보를 작성한 결과, 그가 ‘1670~1682년’에 ‘십여 년’에 걸쳐 전국을 유람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이어 기행시 목록을 기준으로 풍계가 유람한 장소와 그 유형, 현재의 권역 등을 조사하여 ‘총 22개의 산과 122곳’을 추출하였으며, 그중 관동 지역을 일 예로 풍계의 유람 경로를 시각적으로 재현하였다. 또한,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일부 활용한 주요 키워드 분석을 통해 고빈도 어휘를 추출한결과, 장소 요소인 ‘山’이 가장 많이 등장하였으며, 시 전반에서 ‘구름[雲], 바람[風], 달[月], 바위[石]’ 등의 자연 경관 요소가 빈번하게 등장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데이터 분석을 토대로 풍계 기행시의 몇 가지 사례를 비교·분석하여 문학적 해석을 진행하였고, 「두회유완록」에 수록된 시가 단순한 경관 묘사를 넘어 불교적 수행의과정과 긴밀히 연결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無住着’의 수행 방식과 ‘자연 속에서 깨달음을 얻는[自然法爾]’ 사유 방식이 그의 기행시 곳곳에 반영되어 있으며, 이러한 면모는 유가 문인들의 기행시와도 차별되는 특징임을 밝혔다. 풍계는 자연과의 합일을 통해 불법을 깨닫고, 유람을 단순한 여행이 아니라 求道의 한 과정으로 인식하였던 것이다. 이러한연구 성과는 조선 후기 승려 문집과 기행시 연구의 외연을 확장하고, 승려 문학 연구에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시하는 데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Dohwoe Yuwanrok, a collection of travel poems left by the late Joseon Buddhist monk Punggye Myongchal (1640~1708), analyzing how his journeys and quest for enlightenment are represented in his poetry through data analysis. During the Joseon period, travel records were generally written by Confucian scholars as part of their academic pursuits and the cultivation of a noble spirit (浩然之氣), making it extremely rare for a Buddhist monk to travel extensively across the country and leave behind a significant body of travel poetry. In this regard, Punggye’s travel poems represent a unique case within the travel literature of the period.
    Over the course of more than ten years, Punggye journeyed through renowned mountains and temples in the Gwandong (關東), Hoseo (湖 西), and Ginai (畿內) regions, recording his impressions and realizations in 135 sections comprising 152 travel poems, which he compiled into a single volume. However,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Dohwoe Yuwanrok to date.
    This study employs various approaches to identify the diverse aspects and distinctive features of Punggye’s travel poetry and to explore the multifaceted meanings embedded in his travels. First, by analyzing the two prefaces included in Dohwoe Yuwanrok, the study examines the composition of the book and confirms that Punggye embarked on his travels out of a lifelong admiration for nature (山水癖), the cultivation of his inner spirit (氣志涵養), and the pursuit of enlightenment through his visits to eminent Buddhist masters (先覺參訪).
    Next, by extracting and analyzing key elements such as space, time, and people from Punggyejip as a whole, a chronological record of Punggye’s life was reconstructed, suggesting that he traveled across the country for over a decade, approximately from 1670 to 1682. Based on the list of travel poems, an investigation into the places he visited, their categories, and their present-day locations was conducted, revealing a total of 22 mountains and 122 sites. Using the Gwandong region as a case study, a visual representation of his travel routes was also created.
    Furthermore, keyword analysis using text-mining techniques extracted frequently appearing words, with “mountain (山)” emerging as the most prevalent spatial element. In addition, elements of natural scenery such as “clouds (雲),” “wind (風),” “moon (月),” and “rocks (石)” frequently appeared throughout the poetry.
    Based on these data analyses, several cases of Punggye’s travel poems were comparatively analyzed and interpreted, revealing that the poems in Dohwoe Yuwanrok go beyond mere landscape descriptions and are closely intertwined with the process of Buddhist practice. Specifically, his poetic expressions reflect the practice of mujuchak (non-attachment, 無住 着) and the idea of attaining enlightenment through nature (jayeon beopil, 自然法爾), distinguishing his travel poetry from that of Confucian scholars.
    Punggye realized Buddhist truths through unity with nature, viewing travel not merely as a journey but as part of his quest for enlightenment.
    These findings contribute to expanding the scope of research on late Joseon Buddhist literary collections and travel poetry, while also presenting a new methodological approach to the study of Buddhist literary work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남도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