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복식 장만과 관리를 통한 16세기 사대부 집안의 의생활 『미암일기』를 중심으로 (A Study of Clothing Life of Nobility Family in 16th Century by Preparing and Managing of Costumes: Focused on Miam diary)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12.12
27P 미리보기
복식 장만과 관리를 통한 16세기 사대부 집안의 의생활 『미암일기』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국학 / 35권 / 4호 / 7 ~ 33페이지
    · 저자명 : 이민주

    초록

    인간이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기 위해 가장 중요하면서도 기본이 되는 것은 ‘의식주’이다. 이는 조선시대에서도 마찬가지였다. 그런데 그렇게 중요한 의생활이 어떤 수준에서 어떻게 운영되었는지 그 구체적인 내용을 알 수 있는 자료는 많지 않다. 이러한 상황에서 미암 유희춘(1513-1577)이 써놓은 『미암일기』는 1567년(선조 즉위년) 10월 1일부터 1577년(선조 10) 5월 13일까지 자신의 일상생활에서 벌어진 다양한 일을 기록하고 있다. 특히 『미암일기』는 복식을 어떻게 장만하고 관리하였는지를 파악할 수 있어 조선 중기 의생활을 보다 실질적이고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함으로써 그 자료적 가치가 높다고 하겠다. 이에 이 글에서는 16세기 사대부 남성이 기록한 『미암일기』 속 복식의 장만과 관리를 통해 10여 년간 벌어진 조선 중기 사대부 집안의 의생활문화를 보다 생생하게 전달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희춘가에서 복식을 장만하는 주체는 유희춘과 송덕봉이었다. 일반적인 복식은 부인인 송덕봉이 장만하였으며, 관복에 소용되는 사모, 대, 갓, 신발 등은 유희춘이 주체가 되어 장만하였다.
    둘째, 유희춘가에서 복식을 장만하는 기본적인 방법은 부인이나 첩, 딸, 여종 등이 직접 제작하여 장만하는 경우를 비롯하여 구매나 대여를 통해서도 장만하였으며, 임금이 내려주는 하사품과 주변사람들이 보내오는 선물로도 의생활의 많은 부분을 충당하였다.
    셋째, 유희춘가에서는 복식을 관리하는 구체적인 기록은 없었으나 빨래, 염색, 다리미 등을 이용한 손질 방법과 보자기나 각 등을 주고받았다는 기록으로 보아 복식을 관리하기 위한 노력이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영어초록

    Food, clothing and shelter is most important and the basics for life at the same moment. It was the same in Joseon Dynasty period. It is true that there are poor data for understanding the concrete contents in which level and how such important basics were organized.
    In such condition, we found Miam, Ryu hee-chun’s Miam Diary that was recorded his daily life from 1st of October, 1567(the first year of King Seon jo) to 13th of May, 1577(the 10th year of King Seon jo). Especially, it has higher value as a data for understanding more effective and concrete fact how they prepared and managed of costumes.
    This article tried to vividly convey clothing life of nobility family in the middle of Joseon Dynasty for 10years with the preparation and management of garment in Miam Diary which was recorded by a noble man in 16th century. The result is as follows:First, the subject was Ryu hee-chun and Song deok-bong who prepared the costumes. While his wife, Song deok-bong made the general costumes, the components of an official uniform such as Samo, Dae, Gat and shoes was made as Ryu hee-chun led.
    Second, basically, the wife, daughter and a female slave prepared the costumes in the Ryu hee-chun’s, including purchasing and rental, they made a lot of garment with the gift of surrounder.
    Third, even though there was no concrete record for managing the garments in the Ryu hee-chun’s, we found that there were an effort to manage the costumes as examining the record for the way to handle with laundry, dyeing and iron and for exchanging a bojagi and a box.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