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입센 희곡의 공간 연구: 〈인형의 집〉, 〈유령〉, 〈들오리〉, 〈헤다 가블레르〉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pace of Henrik Ibsen’s Plays: Focusing on < A Doll’s House >, < Ghosts >, < The Wild Duck >, < Hedda Gabler >)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20.12
12P 미리보기
입센 희곡의 공간 연구: 〈인형의 집〉, 〈유령〉, 〈들오리〉, 〈헤다 가블레르〉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상명대학교 글로벌문화예술교육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문화예술융합연구 / 1권 / 2호 / 51 ~ 62페이지
    · 저자명 : 주소형

    초록

    이 연구는 입센의 대표적인 작품 중 <인형의 집>, <유령>, <들오리>, <헤다 가블레르>의 공간을 탐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극 공간 (dramatic space)’의 분석을 위해 ‘집’을 ‘내부공간’, ‘집 밖’을 ‘외부공간’으로 설정하고, 그 각각의 공간을 다시 ‘가시적인 공간’과 ‘비가시적 공간’으로 세분화하였다. 이러한 구분을 통해 내부공간인 집은 외부공간에서 온 인물들에 의해 끊임없이 침범당하고 있으며, 은폐되어 있던과거의 사실들이 외부공간에서 온 인물들에 의해 폭로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외부공간의 침입과더불어 내부공간의 붕괴를 가속 시키는 것은 눈에 보이지 않는 비가시적인 공간에 의해서다. 입센은 표면적으로는 지극히 평범한 일상을 그리고 있지만 그 이면에 도사리고 있는 틈새와 균열을 내부/외부공간, 가시적/비가시적 공간의 연관 관계 속에 탁월하게 그려내고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space’ shown in Ibsen’s most well-known works, such as <A Doll’s House>, <Ghosts>, <The Wild Duck>, and <Hedda Gabler>. To analyze the ‘dramatic space’ shown in the plays, the ‘house’ was set as the ‘internal space’ and the ‘outside of the house’ has been set as the ‘external space’ Then, each space has been subdivided into the ‘visible space’ and ‘invisible space’ Through this distinction, we can find out that the interior space (‘house’) is constantly being invaded by figures who came from the ‘external space’, and the facts from the past that has been concealed are being revealed by the figures who came from the ‘external space’.
    In addition to the invasion of the ‘external space’, another factor that accelerates the collapse of the internal space is the ‘invisible space’ that cannot be seen with our naked eye. The influence of the ‘invisible space’ is more destructive because it is a space that does not appear on the surface and can only be ‘sensed’ through sounds or lines of the characters. Also, due to the fact that it is not ‘revealed’, it arouses the curiosity of the audience and stimulates their desire to ‘uncover’ the secrets hidden behind the surface. The invisible space, which creates a vague sense of fear and uneasiness among the audience by making them think that while it is concealed, it is still exercising control over the visible events, constantly affects the visible space and plays the role of ‘pulling up’ the hidden past & secrets up to the visible surface.
    On the surface, Ibsen focuses on depicting our ‘ordinary’ daily lives. However, if you take a more closer look, you will be able to realize that he excels in showing the ‘cracks’ that lurk below the surface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external space and visible/invisible spa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