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청록집』과 『산도화』에 나타나는 박목월의 ‘자연’에 대한 인식 변화 (Park Mok-wol's Perceptual Change of “Nature” in 『Cheongrokjib』 and 『Sandohwa』)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16.12
22P 미리보기
『청록집』과 『산도화』에 나타나는 박목월의 ‘자연’에 대한 인식 변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론집 / 68권 / 259 ~ 280페이지
    · 저자명 : 최석화

    초록

    박목월은 자신을 대표하는 시집인 『청록집』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에도 불구하고 첫 시집인 『산도화』는 그 후 10여년이 지난 1955년에서야 발간을 한다. 이 10년은 ‘해방’이라는 사건이 지나는 공간이며 사회나 문단의 급속적인 변화와 혼란이 있었던 시기이다. 따라서 박목월이 일제 치하에서 생각한 『청록집』에서의이상향은 해방 후에 발간된 『산도화』에 동일하게 표현되지 않는다.
    두 시집에서 박목월이 여전히 ‘자연’을 그리고 있다고 하더라도 해방이후의 자연은 암울한 일제강점기와 달리 긍정적인 것으로 바뀌고 있다. 또한 상상 속의 ‘자연’이 아닌 실제 지명을 등장시킴으로 좀 더 현실화되고 구체화된 자연을 나타내고 있다.
    그는 한글이나 한자 표기의 변화로도 당시의 시대를 표현하기에 더 적절한 것이 무엇인지에 관해 고심하였고 『산도화』에 『청록집』의 일부 시를 싣는 경우에도 개작을 통해 당시 모습을 그 이전과 달리 하였다. 박목월은 자신의 대표시를 「나그네」에서 「청노루」로 수정하는 발언에서도 그 이유를 ‘시대상을 잘 표현’한 것 같다고 할 정도로 당대 모습의 투영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청록집』과 『산도화』가 초기시라는 이유만으로 일제강점기의 모습을 반영하고 있다고 하거나 해방 이후의 모습을 반영하고 있다고 하는 분석은 두 시집에 실린 시들의 창작시기를 고려하지 않은 오류이며 수정되어야 한다.

    영어초록

    Although his representative collection of poetry, 『Cheongrokjib』, received positive reviews, Park Mok-wol did not publish his first collection of poetry, 『Sandohwa』, until about ten years later, in 1955. In this ten-year period, Korea was liberated from Japanese colonial rule, and society and literary circles experienced radical change and chaos. Therefore, the Utopia Park Mok-wol yearned for during Japanese colonial rule changed its look in 『Sandohwa』, which was published after liberation.
    Although the two collections of poetry depicted nature in a similar way, Park Mok-wol's own nature changed from a gloomy one during Japanese colonial rule to a positive one after liberation. In addition, by staging not imaginative “nature,” but actual locations, he depicted a more realistic and concrete nature.
    By changing the expressions of Hangul and Chinese characters, he was also trying very hard to find the most proper expressions for contemporary society. In this regard, when he included some poems that had been published via 『Cheongrokjib』 in 『Sandohwa』, he adapted them and changed their expressions. In addition, when he changed his representative poem from <Nageune> to <Cheongnoru>, he said, “the latter well represents the phases of the times,” thus taking deep interest in projecting the real look of contemporary society.
    In this vein, thinking that, since they are his early poetry, 『Cheongrokjib』 and 『Sandohwa』 exclusively reflect the look of Japanese colonial rule or the things of post-liberation is an error that does not take the time of their creation into account, and therefore must be correc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론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