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서정주 시집 『동천』에 나타난 풍격(風格)의 고전시학적 특성 연구 (A Study on Classical Poetic Characteristics of The Pung-gyuk in Seo Jeong-ju’s 『Dongcheon』)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23.06
42P 미리보기
서정주 시집 『동천』에 나타난 풍격(風格)의 고전시학적 특성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민족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민족문화연구 / 82권 / 82호 / 87 ~ 128페이지
    · 저자명 : 황경해

    초록

    본고는 서정주의 작품 및 작가론, 예술론 등의 영역에 걸친 미학적 사유 속에 고전시학 전통인 ‘풍격’에 함의되는 비평의식과 미감에 대한 변별적 인식들이 내재되어 있다는 전제 하에, 제5시집 『동천』 텍스트를 중심으로 ‘청기(淸奇)’, ‘함축(含蓄)’, ‘섬농(纖穠)’ 이 세 가지 풍격 요소로 개관, 분석, 비평적 운용의 방법론을 활용함으로써 서정주의 시와 당대 사공도의 『이십사시품』에 교직되는 시적 지향성 및 창작 원리의 친연성과 유관성을 밝힘과 동시에 풍격 운용에 대한 고찰을 통해 작품에 담긴 심미의식을 규명하고자 한다. 심미적 인물비평이 낳은 정련된 단어, 문구, 구절로 대상을 개관하는 풍격의 품평방식은 각 예술 장르에 수용되어 중국 미학의 전형적 방식으로 구축된 방법론이다.
    서정주는 전통적 고전미에 입각한 세계관을 발현시키면서, 작품과 시론 등을 통해 문학적 자장 안에 내재된 시 창작의 동력으로서 재래동양 사상과 이에 포섭되고 적재되어 있는 한문학 유산의 영향력을 언급하였으며, 창작의 영역뿐만 아니라 만해 한용운, 근대 불교계의 대석학인 석전 박헌영의 한시 번역을 통해 우리 한문학의 자산을 풍성하게 창출해온 시인이다.
    시 창작의 계기 및 방법론에 있어서 당시(唐詩)를 근간으로 하는 한시의 미학을 탐색하고 천착하여 왔음을 다수의 산문과 시론 속에서 밝히면서 시적 주체를 “동양의 모든 옛 시인들”이라 칭하고, 우리가 전통으로 향유하고 있는 동양인의 자원은 아주 풍부한 것이라 진단하는 서정주의 시각은 그의 작품 속에 구현되는 전통에의 지향성과 맞닿는 미학적 지점으로 볼 수 있다.
    서정주가 한시 번역작업 및 인물비평에 있어서 ‘풍격’ 용어를 언급하며 동양 선비의 정신을 논한 것과, 풍격비평에서 중요한 미적 속성 및 변별 자질로 정의되는 요소의 하나인 ‘미(味)’를 담지하는 ‘정미(情味)’, ‘본미(本味)’ 등의 용어를 빈번하게 활용했다는 것은, 동양시학에서 관습적이며 전통적으로 운용된 풍격비평에 대한 심미의식을 체득하고 전유하고 있었다는 것에 대한 방증이 된다.
    지금까지 서정주에 대한 연구는 ‘신라 정신’을 중심으로 영원성의 시학, 토속신앙에 대한 탐색과 의의에 주목하는 논의들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진 데에 반해서 고전시학의 맥락 속에서 한문학의 전통 및 비평적 사유방식에 의거한 연구는 간과되어 왔으며, 국문학 분야에서의 풍격 연구는 주로 한시 범주에 국한되어 있어 현대시라는 지평에서의 적용 및 비평적 시도는 미진하다.
    풍격은 원래 사람의 풍채나 품격을 가리키는 말로 오랫동안 고전문학에서 운용되어온 개념이며, 문학과 예술비평 등 각 장르에 폭넓게 수용되어 작품이 산출하는 특정미감을 종합적으로 개관한다는 특질을 지니는데, 서정주의 『동천』 텍스트의 경우, 풍격 비평이라는 준거로 작품에 내재된 요소들을 분석하여 주제의식 및 방법론에 접근할 때, 품평용어들에 부합되는 고유의 미감 및 동질성을 발견할 수 있으며 한문학 비평의 계승적 차원에서 유의미한 시적 자질들에 대한 탐색이 가능해진다. 본고에서는, 구체적인 적용의 방법론으로서 중국 미학의 이론적 결산이자 모든 풍격 유형을 관통시키는 이론서로 평가받는 사공도의 『이십사시품』 풍격에 입각하여 『동천』 작품에 내재한 미적 특성을 풍격 용어로서 적시하고 시정신에 함의된 전통 계승의 현대적 의의를 규명하고자 한다.
    『동천』에서 시작의 계기가 된 ‘맑음’을 추구하는 시정신은 이십사시품의 ‘청기’와 상통하는 맥락이며, 시 창작 원리 및 『동천』에서 불교적 은유의 형상화로서 제기된 방법론은 ‘함축’의 요소와 맞닿으며, 고전적 미의식을 주축으로 하는 여인상에 대한 섬세한 시적 정취를 탐구하는 과정은 ‘섬농’이라는 풍격의 품평용어와 조응할 수 있는 심미적 요소이며 미적 자질이다. 이 세 가지는 동천 작품을 ‘풍격’이라는 비평적 잣대로 분석하여 접근할 수 있는 근거이자 핵심적 요체가 된다.
    국문학 현대시의 영역에서 중국고전시학에서도 난해한 분야로 손꼽히는 ‘풍격’을 다루는 일은 많은 한계점이 내포될 수밖에 없지만, 풍격이 함의하는 개방성과 극도의 포용성, 유동적 해석가능성은 현대시에 내재된 미감에 대한 접근을 보다 풍부한 맥락으로 확장시킬 수 있는 운용 기제가 될 수 있다. 『동천』 텍스트라는 비평 대상이 발산하는 미감을 세 가지 풍격적 요소로 개관,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고전미학적 유산과 정신이 작품 속에서 집약되고 발산되는 양상을 심미의식과 함께 규명하고 한국 현대시 텍스트와 고전비평의 새로운 미학적 소통의 가능성을 타진하는 비평적 시도가 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presents the text of the third collection of poetry, 『Dongcheon』, on the premise that there is a critical consciousness implied in the ' Pung-gyuk', which is the tradition of classical poetry, and a distinctive perception of beauty in the works of Seo Jeong-ju and aesthetic thoughts spanning the fields of author theory and art theory. By using the methodology of analysis and criticism with three thematic elements of 'Ceong- gi', 'Implementation', and 'Seom-nong' as a focu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etry of Seo Jeong-ju and the twenty-four poems of Sagongdo and the principle of creation was revealed. At the same time, it is intended to clarify the aesthetic consciousness contained in the work through research on the use of personality.
    In this paper, as a specific method, focusing on Sagongdo 『Si- pum』, which penetrates all Pung-gyuk, the theoretical result of Chinese aesthetics,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inherent in the works of 『Dongchun』 are selected as a Pung-geok term, and the modern significance of the tradition succession implied in the spirit of poetry is examined. want to clarify The spirit of pursuing 'purity' in 『Dongcheon』 is in line with the ‘Chunggi' of <Twenty-Four Poems>, and the methodology raised as the embodiment of Buddhist metaphor in 『Dongcheon』 and the principles of poetry are in contact with the element of 'implementation'. And the process of exploring the delicate poetic mood of the female figure, which has a classical sense of beauty as the main axis, is an aesthetic element and aesthetic quality that can correspond with the quality evaluation term of 'seomnong'.
    The text of 『Dongcheon』, with three elements of style, the classical aesthetic heritage and spirit are concentrated and diverged in the work, along with aesthetic consciousness, and the text of Korean modern poetry. It will be a critical attempt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a new aesthetic communication of classical critici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