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예술가의 집이 공공화 된 작가가옥미술관 고찰 (A Study on the Artist’s House Museum)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19.12
14P 미리보기
예술가의 집이 공공화 된 작가가옥미술관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초조형학회
    · 수록지 정보 : 기초조형학연구 / 20권 / 6호 / 89 ~ 102페이지
    · 저자명 : 김보라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예술가의 집을 미술관화 한 작가가옥미술관의 개념과 현황을 살펴보고 그 필요성을 고찰해보고자 함이다. 미술관은 기원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개념의 변화를 겪어왔다. 수집개념이 중요했던 초기 형성기를 지나 시민사회가 도래하면서 공공의 미술관으로 정착했다. 그러나 근대적 미술관은 정치적 수단으로 활용되기도 하고 예술작품이 본연의 맥락에서 분리되는 결과를 초래했으며 대중을 위한 유희적 요소의 미흡함을 드러내기도 하였다. 이러한 미술관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지역과 특정장소를 기반으로 하는 에코뮤지엄, 하우스뮤지엄 등 확장된 개념의 미술관이 생겨났다. 작가가옥미술관은 이러한 유형의 새로운 미술관 중 하나로 하우스뮤지엄이 작가미술관과 절충된 형태로 기능하게 되었다. 유럽 등 미술문화 선진국이 오래전부터 예술가의 집을 보존하고 미술관으로 운영하고 있는 것과는 달리 우리나라는 그러한 건립 및 운영 사례가 많지 않고 연구도 아직시작단계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작가가옥미술관을 직접 답사하고 조사한 사례를 유형별로 구분하고 연구자가 미술관 현장에서 추진해온 작가가옥미술관의 경험적 사례를 연구 기반으로 활용하였다. 이에 작가가옥미술관의 필요성으로 1) 예술가 연구기반 조성 2) 현장성 중심의 시간과 공간적 맥락의 복원 3) 예술성과 대중성의 절충 4) 지역문화자원 발굴 및 활성화 등을 도출할 수 있었다. 우리나라는 전쟁과 식민지라는 근대사를 겪으며 수많은 문화유산을 잃었고 그 보존 노력이 최근에서야 시작되었다. 작가가옥미술관은 예술적 자산을 지키고 공동의 기억을 형성하기 위한 기반으로 기능하게 될 것이다. 작가가옥미술관이 운영되기 위해서는 1) 뚜렷한업적을 남긴 예술가의 선정, 2) 행정가와 전문가의 지속적인 협력 3) 장소적 특수성을 활용한 프로그램 개발 등이 중요하다. 본 연구를 시작으로 지역의 문화유산을 수호하고 문화적 자긍심을 고취시키며 일상적으로 향유할수 있는 곳으로서 작가가옥미술관이 미술관 문화를 정립하도록 논의가 지속되기를 바란다.

    영어초록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cept and current state of the artist’s house museum, an artist's house converted into an art museum and to consider its necessity. Since its inception, the art museum has undergone a variety of changes in its concept. After an early formative period it has settled into the concept of a public art museum with the advent of civil society. All the same, the modern art museum was utilized as a political tool. This led to a result in which an artwork was separated from its own context and was less sufficient in bringing any amusement to the general public at the museum. An expanded concept of art museums, such as the echo-museum based on a specific region or area and the house museum has emerged for the purpose of overcoming the usual limitations of an art museum. An artist’s house museum is one of the new types of eclectic museums. Unlike art culture in advanced countries including Europe where artists’ houses have been preserved and refurbished into art museums, Korea has no great experiences of their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and research pertaining to this is still in its beginning stages. This study classifies surveys and case studies of the artist’s house museum both in Europe and Korea by types, tapping into the researcher’s field experience of the artist’s house museum on the spot of an art museum as a research base. As a result, the needs for an artist’s house museum include 1) research foundation formation, 2) the recovery of temporal and spatial contexts primarily on the spot, 3) a compromise between artistry and popularity, and 4) the excavation of local cultural resources and its vitalization. Korea has lost its innumerable cultural heritage, going through its modern history fraught with wars and colonial experiences but recently launched its efforts to preserve them. An artist’s house museum will work as the base for preserving cultural heritage and forging common memories. What matters in managing an artist’s house museum are 1) the selection of an artist who has made prolific achievements, 2) a constant collaboration between administrator and artist, and 3) development of programs utilizing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locality.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an opportunity to discuss the establishment of a museum culture as a place where local cultural heritage is preserved, a sense of cultural pride is enhanced in the hearts of local residents, and they are able to enjoy art and culture in their everyday liv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초조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