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내 집’ 만들기 주거불안계급 청년 여성의 공간전략 (Making ‘My home’: spatial strategies of young women as housing precariat)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18.09
31P 미리보기
‘내 집’ 만들기 주거불안계급 청년 여성의 공간전략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환경학회
    · 수록지 정보 : 공간과 사회 / 28권 / 3호 / 271 ~ 301페이지
    · 저자명 : 권민지

    초록

    불안계급 논의는 불안정한 노동자들을 하나의 계급으로 명명하여 새로운 정치적 주체 형성의 가능성을 제시하였고 노동 시장 불안정과 연결된 심리적 양상을드러냈다. 하지만 기존의 논의는 불안계급을 형성하는 요인으로 젠더를 고려하지않았으며, 불안정성의 양상을 강조하여 불안계급의 주체성을 간과하였다는 한계를 지닌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는 불안정성(precarity)과 불안계급(precariat) 개념을 이용해 20대 초반~30대 초반 청년 여성들의 주거 경험을 분석하여 이들을 주거불안계급으로 개념화하고, 청년 여성들이 주거불안계급을 형성하는 요인, 이들이 경험하는 주거불안의 양상과 공간전략을 조명한다. 주거불안계급은 경제적 불안정성과 도시 공간의 젠더 편향으로 인해 편안함과 안전함을느끼며 사생활을 보호받을 수 있는 주거 공간의 부재로 불안을 느끼는 집단이다.
    신자유주의로 인한 경제적 불안정성 증가와 한국의 가부장적 역사·문화적 맥락이결합하면서 청년 여성들은 주거불안계급을 형성하고 있는데, 생애과정의 규범적이행을 당연시하는 한국 사회에서 이들의 주거불안은 일시적인 문제로 인식되어주거복지 정책에서도 사각지대에 위치한다. 그러나 한편으로 청년 여성들은 주거불안계급의 위치에 안주하지 않고 이동 전략, 공동 주거, 대안적 장소 만들기 등다양한 공간전략을 실천함으로써 독립 주거 공간 형성을 위해 노력하는 주체적인면모를 보인다. 본 논문은 그동안 논의의 주변부에 머물렀던 한국의 청년 여성들이 경험하는 주거 불안정성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 주거복지정책에 성 주류화제도 도입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영어초록

    The concept of precariat suggests the possibility of the formation of a new political subject by designating unstable workers as one class and highlights the psychological aspects linked to job market instability. However, not enough attention has been paid to gender as a cause of precariat formation, and subjectivity of the precariat has been overlooked. This paper contributes to current discussion by employing the concept of precarity and precariat to analyze housing experiences of Korean young women and investigates major factors in forming housing precariat, aspects of housing precarity, and their spatial strategies. In this paper, housing precariat is defined as a group that experiences the absence of housing space where one can feel comfortable and secure, with privacy protected, and can focus on self-improvement without interruption, regardless of the existence of physical dwelling space. The combination of growing economic precarity caused by the diffusion of neo-liberalism and the patriarchal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xt of Korea creates housing precariat among young women in South Korea. However, in Korean society where normative life course, such as marriage, is taken for granted, housing precarity of young women is regarded as a temporary problem and remains on the fringe of housing welfare policy. Despite the given set of circumstances, they try to improve housing stability by implementing diverse spatial strategies such as migration strategies, communal housing, and alternative place-making. This paper expands the understanding of housing precarity of Korean young women, which has been at the periphery of the discussion and suggests the need to introduce gender mainstreaming in residential welfare polic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공간과 사회”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