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박상순 초기 시집에 나타난 ‘실재’ 양상 연구 (A Study on ‘the Real’ in the Early Poem Collection of Park Sangsoon)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5 최종저작일 2022.08
26P 미리보기
박상순 초기 시집에 나타난 ‘실재’ 양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예창작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예창작 / 21권 / 2호 / 175 ~ 200페이지
    · 저자명 : 김선우

    초록

    박상순은 특유의 난해함과 독창성으로 문단의 안팎에서 주목을 받아왔다. 그러나 그의 시에 관한 연구는 한국 현대시사를 살피는 데에 필수적임에도 불구하고 모호성과 난해성 탓에 진행 상황이 미비한 편이다. 본 연구자는 박상순의 시에 나타나는 ‘소외’ 양상을 살펴 논의의 틀을 제시한 바 있다. 특히, 초기 시집에 나타난 ‘1차 소외’ 양상을 집중적으로 논의해서, 박상순 시 연구의 계기적·예비적 고찰을 하고자 하였다. 그런데 그의 초기 시집에는 상징계 혹은 상징화에 저항하는 실재 양상도 드러나므로, 해석의 잔여를 남기는 것이다. 본 연구는 실재의 양상을 살펴서 박상순 초기 시집의 면밀하고 풍요한 고찰에 이르고자 한다.
    실재는 ‘어둠’과 ‘검정’, ‘구덩이(웅덩이)’와 ‘구멍’을 통해 상징계에 대응하는 영역으로서 시의 표층에 형상화된다. ‘어둠’과 ‘검정’은 상징적 질서, 시니피앙의 연쇄에서 파생하는 실재 및 실재에로의 주이상스를 표시하거나 상징계를 지탱하는 연원으로써의 실재를 제시하고 있다. ‘구덩이(웅덩이)’와 ‘구멍’은 외상 및 현실 세계의 매몰지나 심연으로 드러나거나 상징계의 균열을 나타내 현실을 와해하는 환상 구현의 매개물로써 제시되고 있다. 이상의 내용을 살피면, 박상순 시의 정신분석적 접근, 박상순 시 연구로 전개될 풍성한 논의의 계기가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다른 시인의 작품에 드러나는 ‘실재’ 양상을 살필 참조점이 되어줄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Park Sangsoon has attracted attention in and outside of the literary community with his uniquely abstruse verses and originality. However, despite his crucial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contemporary Korean poetry, studies on Park’s poetry have been hindered by their ambiguity and abstruseness. In a previous study, this researcher proposed a framework for discussing Park’s poetry by examining the patterns of ‘alienation’ in his works. The study focused on the patterns of ‘primary alienation’ in his early poems, providing a preliminary overview for studying the poet’s works. However, Park’s early poems show signs of the real resisting the symbolic or symbolization, which leaves room for interpretation. this study seeks to examine signs of the real in Park Sangsoon’s poetry, for close and rich exploration of Park’s early poem collections.
    The real is represented on the surface layer as a realm in contrast with the symbolic, through ‘darkness,’ ‘black,’ ‘pit,’ and ‘hole.’ ‘Black’ and ‘darkness’ indicate the real that derives from the symboilc order and the signifiers, as well as juissance toward the real. ‘Pit’ and ‘hole’ are presented as a vehicle to build fanatasies that present themselves as trauma or a buried site or abyss of the real world, or deconstruct reality by showing breaches in the symbolic. Closer examination of the aforementioned topics will provide a foundation for rich discussions that will develop into psychoanalytical approach to Park’s poems and other studies on the poet’s works. They will also provide reference points to understand the patterns of ‘the real’ in other poets’ work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예창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5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