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동화대집』에 나타난 신화성 고찰 (A Study on the mythical nature in the Great Book of Joseon Fairy Tales)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4 최종저작일 2025.04
46P 미리보기
『조선동화대집』에 나타난 신화성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논총 / 99호 / 5 ~ 50페이지
    · 저자명 : 신원기

    초록

    본고의 목적은 우리말 최초의 동화집이자 설화집인 『조선동화대집(朝鮮童話大集)』에 나타난 신화성(神話性)을 살피는 것이었다. 신화성은 신화의 요소나 특성인데, 기원성(起源性), 영웅성(英雄性), 제의성(祭儀性) 등으로 분석했다.
    먼저, 『조선동화대집』에서 신화와 관련된 이야기 유형을 4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첫째, 도깨비 소재의 이야기는 신화에 나타난 도깨비의 부신성(富神性)을 형상화하고 있었다. 이는 신화의 신화성인 기원성을 반영한 것으로 보았다.
    둘째, 영웅신화의 변형 이야기는 이야기의 주인공이 자신에게 주어진 결핍을 우연이나 지혜나 능력으로 극복해 내었다. 그래서 이들 이야기는 신화의 신화성인 영웅성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보았다.
    셋째, 신화에 형상화된 이야기는, 이야기에 나타난 장면이 신화의 왕의 살해, 신령의 좌정, 악령 퇴치, 보물 되찾음과 비슷했는데, 신화의 제의성, 기원성, 영웅성 등을 반영하고 있었다.
    넷째, 동물의 신성성 이야기에는 신화에 나타난 조력자, 괴물 퇴치의 영웅, 토템 등을 형상화하고 있었다. 이는 신화의 신화성인 영웅성, 제의성이 민담에 반영된 것으로 보았다.
    그다음, 위에서 살핀 4유형에 나타난 신화성인 기원성, 영웅성, 제의성이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분석해 보았다. 그 의미는 각각 ‘부귀영화의 욕망과 경계’, ‘영웅적 능력의 개인화’, ‘신화의 변형과 전파’, ‘우화의 형성과 전개’라고 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신성성의 양상과 의미가 지니는 서사문학적 의의는 주제의 세속화와 인물의 개인화, 화소의 전승과 확산, 인물의 우의성(寓意性)과 담론의 다양화 등이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the mythical nature in the Great Book of Joseon Fairy Tales, the first collection of fairy tales and folktales in Korea. Mythical nature is an element or characteristic of a myth, and it was analyzed based on original nature, heroism, and ritual feature.
    First, the story of the goblin material embodied the wealth of the goblin in the myth. This was considered to reflect the mythical origin of the myth.
    Second, in the story of the transformation of the heroic myth, the protagonist of the story overcame the deficiencies given to him by chance, wisdom, or ability. So, these stories were viewed as reflecting the mythological spirit of heroism.
    Third, the story embodied in the myth was similar to the murder of the king of the myth, the being seated of the spirit, the eradication of evil spirits, and the recovery of treasure, reflecting the ritual, origin, and heroism of the myth.
    Fourth, in the story of animal divinity, the helpers in myths, heroes to kill monsters, and totems were embodied. This was seen as reflecting the mythological spirit of heroism and ritualism in the folk tale.
    Next, we analyzed the meaning of the origin, heroism, and ritualism, which are the myths that appeared in the four types examined above. Its meaning could be said to be ‘desire and alert of wealth and honor’, ‘personalization of heroic abilities’, ‘transformation and propagation of myths’, and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fables’, respectively.
    And the narrative literary significance of this aspect and meaning of sacredness was secularization of the subject, personalization of characters, transmission and diffusion of motifs, the allegorical nature of characters and diversification of discour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