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계원필경집 의 편찬과 사료적 가치 (A Value as historical documents of Gyewonpilgyeongjip( 桂苑筆耕集 ))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4 최종저작일 2011.08
31P 미리보기
계원필경집 의 편찬과 사료적 가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진단학회
    · 수록지 정보 : 진단학보 / 112호 / 233 ~ 263페이지
    · 저자명 : 장일규

    초록

    계원필경집 은 최치원이 879년 10월 이후부터 885년 3월 이전까지 고변의 휘하에서 활동하면서지은 글로 구성되었다. 권1~권15의 글은 대체로 고변의 代作이지만, 권16~권20에는 일부를 제외하고는 자신의 글이 주로 수록되었다.
    최치원은 빈공진사시의 貢擧를 맡은 배찬의 門生과 특별한 관계를 맺었고, 羅隱, 陸龜蒙, 杜荀鶴,皮日休 등 자신과 비슷한 시기를 살았던 문인과 교유하였다. 또한 宣州와 揚州에서 활동하면서 머물렀던 白居易, 杜牧 등 자신보다 앞선 시기를 살았던 문인의 시문에 영향을 받았다.
    최치원은 백거이의 문집인 白氏長慶集 을 통해서 공사간에 전한 글을 짓는 방법이나 내용을 익혔다. 하지만 두목의 문집인 樊川文集 에는 황제부터 중앙 및 지방 관인에게 보낸 여러 문서가 수록되었기에, 최치원은 계원필경집 의 체제를 구성하면서 번천문집 의 체제를 유념하였다. 한편 나은의문집인 羅昭諫集 에는 당시 혼란 속에서 고생하는 백성의 모습을 진지하게 바라보면서 나름의 의견을 제시한 글이 실려 있다. 최치원은 나은과 교유하면서 사회 혼란 속에서 백성의 어려움을 구제하려는 현실인식을 가졌다.
    최치원은 顧雲과 함께 사실을 간추리지 않고 있는 그대로 적는 歷史觀을 가졌다. 또한 두목과 나은의 영향을 받아 당 말의 사건과 상황, 각 인물의 활동상을 보고 듣고 알고 있는 그대로로 적어야함은 물론 사회 혼란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도 구상하였다. 이들은 대체로 유교적 관념에 토대를 둔현실인식과 역사관을 나타내었다. 최치원은 계원필경집 에서 혼란한 사회를 수습하기 위해서는 군주가 상벌을 엄정히 하고 효율적으로 반란을 진압해야 한다고 하면서, 군주가 요순시대와 같은 德化政治를 이루려면 어진 신하를 등용해야 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그의 현실인식이나 역사관은 자신과 같은 유학지식인을 중심으로 군왕 중심의 상하 질서를 구축하는 것이어서, 진골 중심의 역사관을 가졌던 金大問과는 달랐다.
    계원필경집 은 시를 함께 엮은 당 문인의 문집과는 달리 황제나 관료, 지인들에게 전한 表, 狀 등을 중심으로 체제를 구성하였다. 최치원은 독특한 체제로 계원필경집 을 엮으면서 헌강왕에게 중국의문물을 익히고 수용하는 숙위학생의 역할을 완수하였다는 보고와 함께 군왕 중심의 통치 체제의 구축이라는 자신의 이상이 실현될 수 있음을 알리려고 하였다. 계원필경집 은 春秋 로 상징되는 儒敎史觀이 반영된 문집이었다.

    영어초록

    Choi, Chi-Won’s GyeWonPilGyeongJib was composed with his own writings and writings which write for Gao-pian(高騈) from October, 879 to March, 885. Writings in volume 1~15 are mostly written for Gao-pian, but volume 16~20 contains his own writings excluding some writings.
    Choi, Chi-Won had special relation with Fei-zan(裵瓚)’s pupil. However, he could know style of poetry who was contemporary such as Luo-yin(羅隱), Lu-gui-meng(陸龜蒙), Du-xun-he(杜荀鶴), Pi-ri-xiu(皮日休), while he served as Local officials.
    Furthermore, he was influenced by style of past generations poetry such as Bai-ju-yi(白居易) and Du-mu(杜牧) while he served Yangzhou(揚州) and Xuanzhou(宣州).
    Choi, Chi-Won could learn how to write writings and make contents through BaiShiChangQingJi(白氏長慶集) which was written by Bai-ju-yi. But he keep in mind system of FanChuanWenJi(樊川文集) which was written by Du-mu while he organize system of GyeWonPilGyeongJib. FanChuanWenJi contains many documents which was send to the emperor, central officials and local officials. He was influenced by Du-mu’s writings while he served local officials in region which Du-mu lived in. Meanwhile,LuoZhaoJianJi(羅昭諫集) was contained his own proposed article for people who suffer in chaos. Choi, Chi-Won could learn to recognize the reality that you want to remedy the people’s difficulties through associate with Luo-yin.
    Also, Choi, Chi-Won get view of history that records fact realistically without summarizing through Gu-Yun(顧雲)’s writings. Thus, he could organize plan that overcome social confusion as well as he could realistically records events, circumstances each person’s activities of late Tang dynasty through influence of Luo-yin and Du-mu.
    They also usually pursued moral influenced politics which was on the basis of confucian political philosophy centered by king. He also believed that king should govern strictly and quell revolt efficiently in GyeWonPilGyeongJib. Also, he thinks that king should appoint benevolent courtier for achieving moral influenced politics. For such a reason as mentioned, his view of history and recognizing the reality was totally different from Kim,Dae-Moon(金大問) who has view of history which was centerd Jingol(眞骨).
    GyeWonPilGyeongJib was composed with writings which was send to emperor,central officials and local officials and acquaintance that was totally different from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in Tang. Choi, Chi-Won want to report on that he could successfully learn and accept China’s products of civilization and establishment of governing system which was centered by king could be realizd in Silla(新羅) to King Hun-Gang(憲康王). To conclude, GyeWonPilGyeongJib is Korea’s first anthology which was reflect Confucian view of hist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진단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9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