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베트남 결혼이민여성 유아기 자녀의 다중정체성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multiple identities of the young children of Vietnamese immigrant married women)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4 최종저작일 2018.01
36P 미리보기
베트남 결혼이민여성 유아기 자녀의 다중정체성에 관한 질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육아지원학회
    · 수록지 정보 : 육아지원연구 / 13권 / 1호 / 139 ~ 174페이지
    · 저자명 : 김혜전, 홍용희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베트남 결혼이민여성 유아기 자녀들의 다중정체성을 탐구하고 유아들의 바람직한 다중정체성 형성을 위해 부모들과 교사들이 요구하는 지원 방안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베트남 결혼이민여성 유아기 자녀 9명, 어머니 5명, 아버지 4명, 교사 10명이고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 분석했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이민여성 유아기 자녀들의 다중정체성은 자기 정체성(Self Identity), 가족 정체성(Family Identity), 국가 정체성(National Identity)으로 분석되었다. 유아들의 자기 정체성은 ‘성장하는 사람’, ‘능력 있는 사람’, ‘사랑을 주고받는 사람’, ‘특정 집단에 소속된 사람’, ‘친구들과 다른 점이 있는 사람’으로 나타났다. 가족 정체성은 ‘즐거움과 행복을 나누는 사람들’, ‘사랑하고 보살피는 사람들’, ‘한국어와 베트남어를 쓰는 사람들’, ‘소통에 노력이 필요한 사람들’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국가 정체성은 ‘한국 사람’, ‘베트남 사람’, ‘베트남 사람도 되고 한국 사람도 됨’, ‘모름’으로 나타났다. 둘째, 베트남 결혼이민여성 유아기 자녀들의 바람직한 정체성 형성을 위해 부모들과 교사들은 사회에서 ‘결혼이민여성가족을 보통의 한국 사람으로 생각하기’, ‘유아의 다문화가정 배경에 지나친 관심 자제하기’, ‘다문화가정 배경을 유아의 강점으로 인정하기’, ‘결혼이민여성의 모국문화에 관심 갖기’를 요구했다. 결혼이민여성 유아기 자녀들이 바람직한 다중정체성을 형성하게 하기 위해 이들을 사회구성원으로 존중하고 잠재력을 펼쳐나갈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ultiple identities of young children of Vietnamese immigrant married women and explore support strategies for helping them establish desirable multiple identities in their parents and teacher’s perspective.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five familie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Supporting Korean-Vietnamese Multicultural Families Visiting the Mother’s Parents’ Home’ in 2014 and 2015. In total, 5 Vietnamese immigrant married women, 4 husbands, 9 children, and 10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used qualitative methods, including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ultiple identities of the young children of the marriage immigrant women were composed of sub-elements such as self identities, family identities, and national identities. The self identities of the young children were ‘a growing person,’ ‘a capable person,’ ‘a person who loves and is loved,’ ‘a person who is a member of a certain group,’ and ‘a person who is different in some ways from his/her friends’. The family identities were analyzed to be ‘people who share joy and happiness,’ ‘people who love and care,’ ‘people who use the Vietnamese and Korean languages,’ and ‘people who need to work on communication.’ Lastly, their national identities were ‘Korean,’ ‘Vietnamese’ ‘Vietnamese and Korean,’ or ‘Unknown.’ Second, the parents and the teachers requested that supports are necessary to help the young children of Vietnamese marriage immigrant women form desirable identities. In this respect, specific strategies included ‘viewing the family of marriage immigrant women as normal Koreans,’ ‘refraining from showing too much interest in the multi-cultural background of the children,’ ‘recognizing the multi-cultural background as an advantage for the children,’ and ‘learning about the culture of the home countries of the marriage immigrant women.’ The children have developed their identities in a positive manner but also having difficulties due to their multi-cultural identities. For future research, more in-depth studies and support concerning the identities of the children from the various type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develop educational program in order to help them to become healthy member of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육아지원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