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글로벌 역량 교육의 핵심 학습요소와 영역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Identifying Key Learning Components and Dimensions in Global Competence Education:A Qualitative Meta-analysis)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4 최종저작일 2019.09
31P 미리보기
글로벌 역량 교육의 핵심 학습요소와 영역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교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교육연구 / 29권 / 4호 / 1 ~ 31페이지
    · 저자명 : 이혜원, 이수정, 박찬호, 김형렬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글로벌 역량 교육의 학습주제와 내용들이 언급된 문헌들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을 통해 글로벌 역량 교육의 핵심 학습요소와 영역을 선정하는 데 있다. 최근 미래사회 대비 및 세계시민성 함양의 측면에서 글로벌 역량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전 세계적으로 공유됨에 따라 글로벌 역량 교육의 이론적 체계화를 위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반면, 글로벌 역량 교육의 실천과 관련하여 글로벌 역량 교육을 통해 무엇이 다루어져 왔고 또 다루어져야 하는지에 대한 학술적인 관심과 논의는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글로벌 역량의 함양이 이론적 논의에 그치지 않고 교육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 위해서는 글로벌 역량 교육의 내용과 범위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연구방법]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글로벌 역량 교육의 학습주제와 내용들을 다룬 문헌들을 대상으로 질적 메타분석(qualitative meta-analysis)을 진행하였다. 분석 대상이 된 문헌은 2006년과 2017년 사이에 출판된 80개의 영어 또는 한국어로 작성된 연구 보고서와 논문들이다.
    [연구결과] 분석결과, 의사소통 기술, 창의성, 비판적 사고, 문화적 다양성, 공감, 양성평등, 글로벌 정체성, 건강과 웰빙, 인권, 상호연계성과 상호의존성, 다중적 관점, 참여, 평화와 비폭력, 책임감, 사회 정의, 지속가능성, 행동하기의 글로벌 역량 교육의 17개 핵심 학습요소와 개인, 공동체, 인간, 환경, 시간의 5가지 영역이 선정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글로벌 역량 교육의 내용체계 구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글로벌 역량 교육이 지향해야 할 방향성을 제안해 줄 수 있다.

    영어초록

    [Purpose] This study intends to identify key learning components and dimensions in Global Competence Education (GCED). With a resurgence of interest in GCED in recent years, a growing number of scholars have conducted systematic conceptual reviews of theories and studies dealing with GCED. By contrast, there has been little systematic research on what has been and should be taught in practices.
    [Method] To this end, this study uses a qualitative meta-analysis methodology (Levitt, 2018). We analyze 80 studies dealing with learning themes and contents of GCED, which have been written in English or Korean and conducted between 2006 and 2017.
    [Results] A unified framework of key learning components and dimensions in GCED emerges from our literature review and meta-analysis and includes a total of 17 key learning components (communication skills, creativity, critical thinking, cultural diversity, empathy, gender equality, global identity, health and well-being, human rights, interconnectedness and interdependence, multiple perspectives, participation, peace and non-violence, responsibility, social justice, sustainability, and taking actions) and 5 dimensions (individual, community, humanity, environment, and time).
    [Conclusion] This study concludes with a discussion of implications for GCED policy,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