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댄스 뮤지컬의 안무기법 및 형태 분석을 위한 질적 접근 (Analysis on Choreography Characteristics and Pattern of Dance Musicals Qualitative Approach)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4 최종저작일 2013.04
12P 미리보기
댄스 뮤지컬의 안무기법 및 형태 분석을 위한 질적 접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예술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예술교육연구 / 11권 / 1호 / 145 ~ 156페이지
    · 저자명 : 홍선미

    초록

    본 연구는 댄스뮤지컬에 나타난 안무기법 및 형태를 집중 분석함으로써 앞으로 뮤지컬 안무교육의 방향 모색의 기초자료가 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으로 기존의 댄스뮤지컬 안무가들의 대표작품 영상자료들 및 선행연구, 안무가들에 대한 평, 문헌 등을 바탕으로 심도 깊게 분석되어졌다. 연구 참여자로 현재 뮤지컬 안무 경험이 3회 이상인 4명의 안무가가 10주 동안 매주 3회 씩 탐색과 분석 및 토론을 진행하였다. 귀납적 분석의 결과, 중 영역에서 연극적 요소가 가미 된 안무, 다양한 춤 혼합형태, 사실적 표현기법사용, 무용수 각각의 신체적 특성 및 장점표출 결여로 도출되어졌다. 또한, 안무교육의 방향성에 대해 논의 된 내용으로는, 첫 째 안무교육에 있어서 대본 숙지 능력, 둘째, 음악에 대한 이해력, 셋째, 캐릭터 동작을 연구 해 낼 수 있는 창의성, 넷째, 사실적 표현기법과 상징적 표현기법을 정확히 사용할 수 있는 능력, 다섯째, 배우, 무용수, 역할의 특성을 찾아 움직임으로 연계시킬 수 있는 능력, 여섯째 스태프(staff)들과의 소통 할 수 있는 다양한 지식을 쌓도록 유도 해 주어야함이 시급한 안무교육의 방향으로 논의 되어졌다. 결론적으로 안무가는 다양한 지식을 지녀야하며 안무교육에 있어서 타 장르와의 접목과 연계성에 대한 훈련이 반드시 필요함을 본 연구를 통해 다시 한 번 강조되어졌다.

    영어초록

    Growing interest on musicals in general has led to researching its history and development.
    Experimenting with musical elements like play, music, and dance and mixing these elements cohesively is the crucial part of making musicals. Some of the United States' top choreographers on theater often directs, which means choreographer's role is very important these days. In musical theater, choreography is more important, which means choreographers need profound research to develop systematic dance movements.
    This paper focuses on the history of American musical theater, following the roots of individual works, and also study characteristics and pattern of choreography.
    This paper analyz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choreography in musical theater, which should be different and original from other dance genre, since overall quality of musicals depend on dance form on great scale.
    This paper used related articles, other papers and visual data to research. Analyzing characteristics and forms of choreography in the works of Agnes de Mille, Jerome Robbins, Hanya Holm and Bob Fosse have made the groundwork of this pap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예술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