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강강술래의 예술치유 현상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for a Model of Healing Processes of Experiencing Kangkangsulrai)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4 최종저작일 2008.12
25P 미리보기
강강술래의 예술치유 현상에 관한 질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심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심리학회지:일반 / 27권 / 3호 / 757 ~ 781페이지
    · 저자명 : 김미숙, 오수성, 한규석

    초록

    본 연구는 강강술래 과정에서 얻을 수 있는 치유경험을 기술하고 분석하여 한국적 집단 예술치유의 전형을 발견하고자 한 경험적 연구 결과물이다. 광주 전남지역의 성인 16명의 심층 면담 자료를 Strauss와 Corbin(1990)이 제시한 근거이론 방법을 참고로 하여 내용을 분석하였다. 강강술래 참여자들은 내면의 억압(한, 단절감, 사는 재미 상실 등)과 창조적 역동(자기 존재감 확인, 자기표현 요구 등)을 자신들이 몸담고 있는 조직과 지역사회의 역사적 문화적 맥락 속에서 그들만의 이야기가 있는 ‘집단 신명’으로 풀어내었다. 그 과정에는 강강술래의 ‘예술적 특성 요인’과 ‘집단역동 요인’이 중재변인으로 작용하였는데, 강강술래의 ‘손에 손을 잡고 뛰며 돈다’라는 행위적 외연은 ‘집단의 일체감 고양, 반복적 행위의 주술성, 원형(circle)의 상징성과 시간성’이라는 내면적 의미의 확장을 통해 참여자들의 심리역동의 질적 고양을 돕는다. 이를 통해 강강술래 참여자들은 ‘씻김’, ‘관계회복’ 그리고 ‘치유’를 경험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강강술래 과정에는 체험 호감도와 심리역동 변화수준과 관련한 참여자들의 행동 및 반응 유형으로 ‘역동 회피형’, ‘예술과 집단호소형’, ‘역동적 자기 실현형’의 세 유형이 존재하였다. 강강술래 경험의 과정과 구조를 체계화한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심리 건강문화와 관련하여 예방적, 치유적 차원에서 한국인의 정서에 다가서는 예술 치유 프로그램 개발의 실제적 지침이 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took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Strauss & Corbin, 1990) in order to develop a model of healing processes of experiencing Kangkangsulrai, a folk group dancing practiced widely in rural area. We interviewed 16 adults residing in rural area who often practiced the group dancing. Following the analytic frames of the grounded theory, we identified 184 concepts which were grouped into 36 subcategories and 14 superordinate categories. The causal conditions for the healing experiences of Kangkangsulrai were the suppressed feeling and/or the severed experiences from relationship and living in the community. The participants were able to turn the negative feelings into creative psychodynamics of the group shinmyung by engaging in the dancing activities collectively. In this process, the artistic properties of the dancing and group dynamics played as the mediating role. The activity of rotating circles repetitively with holding hands on both sides appears to booster the oneness feeling of the group. This feeling in turn leads to enhance ecstatic experience psychodynamically and to the healing and being-cleansed experience. The process analysis also identified three types of participants; the avoiding dynamics type, the artistic and group appeal type, and the dynamic self-fulfillment type. The present research showed that the main thematic process of Kangkangsulrai is the artistic and psychodynamic group-oriented self-remedial experience. The research was able to show a cultural model of healing experience of folk group dancing practice among Koreans. This model shows direction for further research validating the model and the concepts and serves as a guide for understanding art therapeutic practice for Korea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심리학회지:일반”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