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특성화고 진학 및 졸업 후 진로에 대한중학생, 학부모, 산업체 인사 담당자의 인식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Aware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School Parents, and Human Resources Directors in Industrial Institutions about Admission into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Career after Grad)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4 최종저작일 2013.09
20P 미리보기
특성화고 진학 및 졸업 후 진로에 대한중학생, 학부모, 산업체 인사 담당자의 인식 비교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공업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38권 / 2호 / 48 ~ 67페이지
    · 저자명 : 이병욱, 안재영, 이찬주, 이상현

    초록

    본 연구는 특성화고 교육의 주요 수요자가 될 중학생, 학부모, 산업체 인사 담당자의 특성화고 진학 및 졸업 후 진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특성화고의 운영 방향에 관한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충남 아산시의 중학교 3학년생과 학부모 및 산업체 인사를 대상으로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과 학부모는 대체로 특성화고·마이스터고 등 직업 교육 기관보다는 일반고 진학을 희망하였고 고교 선택 요인으로 중학생은 학업 성적을, 학부모는 적성·소질을가장 고려하였다.
    둘째, 중학생·학부모·산업체 인사는 특성화고의 목적을 학생의 소질·적성 향상 및취업으로 인식하였고, 특성화고의 긍정적인 이미지는 소질·적성을 일찍 살림, 취업이 잘됨, 졸업 후 자립이 빠름, 우수한 기술 습득 등으로, 부정적인 이미지는 사회적 편견 및 차별, 성적이 좋지 않은 학생의 진학, 승진·임금 등에 대한 불이익, 대학 진학에 불리 등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특성화고 교육이 전공분야 기초·실무 능력 향상, 직업 기초 능력 함양, 창의 인재 육성, 바른 인성 및 태도 함양에 대해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다수의 중학생과 학부모가 아산시에 특성화고 설립 시 특성화고 진학 의사를 나타냈고 진학 이유는 적성·소질을 일찍 살림, 우수한 기술 습득, 조기 취업 희망 등, 미진학 이유는 적성·소질에 맞지 않음, 특성화고에 대한 인식 부족, 대학 진학에 불리, 사회적편견 및 차별 등이었다. 또한 특성화고 졸업 후 취업과 대학 진학을 비슷하게 희망하였고취업 이유는 대체로 사회 진출을 빨리하여 성공하고 싶거나 대학을 졸업해도 취업하기 어렵기 때문에, 진학 이유는 대체로 전공에 대한 심화교육과 학력에 따른 사회적 차별 때문이었다. 중학생·학부모·산업체 인사가 인식하는 채용 기준으로 직무 수행 능력이 가장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중학생과 학부모는 공업 계열 학과, 가정·가사 및 상업 관련 학과를 주로 희망하고 있으며 학과 선택을 위해 적성·소질, 미래 유망, 취업에 유리함 등을고려하였다. 산업체 인사의 특성화고 학생의 채용 이유는 학생을 산업체의 인재로 성장,학생이 직무 수행 능력을 갖춤, 고졸 수준의 인력이 필요함 등이었고, 인력이 필요하거나학생이 직무 수행 능력을 갖추면 채용할 수 있다는 일부 응답이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 따른 특성화고 운영 방향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특성화고는 학생과 학부모의 다양한 요구에 부합도록 학과 및 교육과정을 다양화하고진로 지도에 입각한 특성화고 입학 시스템을 구축하며 일 기반 현장 학습을 구축하여 학생의 직무 수행 능력을 향상시켜야 한다. 정부는 특성화고 학생의 실질적인 경력 발달이가능하도록 선취업 후진학 정책을 정비하고 취업률 등 정량적 평가보다는 특성화고 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방향으로 관련 정책을 추진하며, 특성화고 관련 기능 인력이 제대로 평가 및 대우받을 수 있는 각 부처의 협력적 지원이 요구된다.

    영어초록

    This study tried to suggest implications about operation direction of specialized high schools (SHS) by researching aware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MSS), school parents (SP), human resources directors in industrial institutions (HRDII) who will be the main users of SHS education, about entering SHS and career after graduating from SHS.
    Seniors of middle school, SP and HRDII in Asan, Chungnam were the subject of this survey research. The summary of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First, MSS and SP usually hoped to enter general high schools rather than vocational education schools such as SHS, meister high schools, and MSS considered school records and SP considered aptitude and talent for the factors to choose high school.
    Second, MSS, SP, and HRDII recognized purposes of SHS as improvement of talent and aptitude, and getting a job. As for positive images of SHS, they recognized it as applying talent and aptitude to life early, getting good jobs easily, fast independence after graduation, and learning excellent technologies, and as for negative images of SHS,they recognized it as social prejudices and discrimination, students with bad school records enter them, disadvantages about promotion and wages, and being unfavorable for entering universities. They also recognized education of SHS as being effective for improvement of basic and executive ability and key competency, development of creative human resources, and improvement of right personality and courteous manners.
    Third, many MSS and SP showed intention to enter SHS if it is established in Asan.
    They wished to enter SHS because they would like to apply their aptitude and talent to life early, learn excellent skill, and hope for early employment, on the other hand, they did not wish to enter SHS because it was not suited for their aptitude and talent,awareness about SHS is low, it is unfavorable to enter universities, and there were social prejudices and discrimination. They also similarly hoped for getting jobs and entering universities after graduating from SHS. And the reason they wanted to get a job was usually because they want to be successful by advancing into society early, or because it is still hard to get a job even after graduate from the university, on the other hand, the reason they want to enter university is because is usually in-depth education about major and social discrimination about level of education.
    The ability to perform duties forms the greatest part of the employment standard that MSS, SP, and HRDII aware. MSS and SP usually hoped for industrial, home economics and housework and commercial majors in SHS, and considered aptitude and talent, the promising future, and being favorable for employment for choosing major.
    The reason HRDII hire SHS student was to develop student into talent of industrial institution, ability of student, and need for manpower with high school graduation level,and there were also partial answer that they can hire SHS student if they have ability to perform duties.
    The proposals about operation direction of SHS according to the results above are as follow:SHS should diversify major and curriculum to meet various requirements of student and parents, establish SHS admission system based on career guidance, and improve student`s ability to perform duties by establishing work-based learning.
    The Government should organize work-to-school policy to enable practical career development of students from SHS, and promote relevant policy to reinforcing SHS education rather than quantitative evaluation such as employment rate, and cooperative support from each government departments is required to make manpower with skill related to SHS to get proper evaluation and treat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공업교육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