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20세기 안좌도 『前津堰修契記』를 통해 본 제언 축조와 운영 실태 (The Dike-Construction and Management through Chunjinunsugyegi of Anjwado in 19th and 20th Century)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4 최종저작일 2013.10
33P 미리보기
19~20세기 안좌도 『前津堰修契記』를 통해 본 제언 축조와 운영 실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藏書閣 / 30호 / 10 ~ 42페이지
    · 저자명 : 김경옥

    초록

    조선시대의 토지 간척은 16세기 중앙의 권력층에 의해 전개되었다. 17세기에는 저수지와 제언 등 수리시설이 발달하면서 대규모 간척지가 조성된 것으로 파악된다. 실제 서남해 도서지역의 경우 17~18세기에 도서 이주민들이 증가하면서 사회·경제적으로 크게 변화된 것으로 확인된다. 그렇다면 도서 이주민들은 섬에서 어떻게 경제생활을 영위하였을까? 섬에서 토지는 언제, 어디에, 어떤 방식으로 만들어졌을까? 토지간척에 필요한 기술과 노동력은 어떻게 마련하였을까? 이러한 의문에서 제언을 축조한 사람들, 제언 축조 이후 관리방식, 간척지의 위치 비정, 간척으로 인한 섬의 공간변화 등을 安佐島 前津堰(일명 앞너리들) 契文書를 통해 재구성하였다.
    조선시대의 안좌도 해역은 여러 개의 크고 작은 섬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이 가운데 비교적 큰 섬에 해당하였던 安昌島와 基佐島는 국용 목재를 배양하는 松田이 설치되어 있었고, 말을 기르는 牧場이 개설되어 있었다. 조선시대의 송전과 목장은 토지를 개간하는데 있어서 더없이 좋은 입지조건이었다. 다만 갯고랑을 따라 유입되는바닷물만 차단하면 온전히 농토로 사용할 수 있었다. 따라서 갯벌에 제방을 건설하는 일은 간척지를 조성하는데 1차적인 요건이었다. 구전에 의하면, 안좌도 전진언은19세기 중엽에 축조된 것으로 전해온다. 섬 주민들은 전진언 일대를 ‘언답, 앞널들, 앞너리들’이라 부른다. 전진언의 구조는 저수지·수로·수문·빼닫이문·원답[堰畓]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섬 주민들은 전진언을 관리하기 위해 원계[堰契]를 조직하였고, 계원들은 매년 총회를 개최하여 제방 관리 대책을 논의하였다. 원계 총회에서는 1년 동안 전진언을 보수·유지하는데 지출한 예산을 결산하고, 제언과 수문 관리자로 保主와 水口를 선임하였다. 보주와 수구는 전진언을 관리한 대가로 堰畓의 경작권을 얻었고, 대신 연말에 원계에 토지세를 납부하였다. 원계의 토지세는 제언 관리비로 비축되었다

    영어초록

    The land reclamation of Joseon in 16th century was developed by the central government. It is confirmed that the large scale reclamation was build as irrigation facilities like reservoirs and dikes were developed in 17th century. Actually, in case of Southwest island area, social and economic changes occurred as the number of immigrants to islands increased. How did they lead their economic lives in the islands? When, where, or how was land made? What made labours and technology needed to make reclamation? With such questions, selecting location of reclamation, people who made the dikes,management after building dikes, and changes of spaces of the islands by the reclamation were reconstituted by documents of the mutual aid association of Chunjinun, called Ahpnuli (앞너리들), in Anjwado (安佐島).
    The area of sea around Anjwado during Joseon Dynasty consisted of a lot of islands both big and small. Among them, Anchangdo (安昌島) and Kijwado (基佐島) which were relatively large islands had pine groves where national wood was cultivated and pastures where hoses were raised. The pine groves and pastures in the island area was perfectly suitable for the reclamation. However, only blocking seawater streaming into land along small channels of tidewater on the shore of an inlet made the places available for farmlands. Therefore, building dikes on the foreshore was initial requisite to make reclamation. According to oral tradition, Chunjinun in Anjwado was built in the mid-19th century. The residents in the island call the whole Chunjinun ‘Undap (堰畓)’, ‘Apnuldeu (앞널藏書閣3042들)’, or ‘Apnudeuli’. The structure of Chunjinun consisted of a reservoir, a channel, a floodgate, sliding doors, and rice fields nearby dikes, and so on. The island residents organized the mutual aid association for dikes, and a general meeting a year was held by the members of it. The general meeting of the mutual aid association for dikes settled accounts paid for maintenance of Chunjinun for one year, and elected Boju (保主) and Sugu (水口) as a manager of the dikes and floodgates. Boju and Sugu received rice fields nearby dikes at the cost of managing Chunjinun, and paid land taxes to the mutual aid association for dikes at the end of the year. The land taxes of the mutual aid association for dikes were paid for the management expenses of the dik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藏書閣”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