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도신화와 고통의 문제: 『리그베다』에 나타난 바루나와 진흙의 집 내러티브 해석 (On the Problem of Suffering in Indian Mythology: Narrative Interpretation of Varuṇa and House of Clay Episode)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4 최종저작일 2019.02
20P 미리보기
인도신화와 고통의 문제: 『리그베다』에 나타난 바루나와 진흙의 집 내러티브 해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남아시아연구 / 24권 / 4호 / 35 ~ 54페이지
    · 저자명 : 김진영

    초록

    인도신화에서 고통의 문제를 다루는 기원적 텍스트로 『리그베다』와 바루나 신화를 꼽을 수 있다. 여기서 인간의 고통은 신이 주는 질병이나 죽음이라는 신체적 형벌로 묘사된다. 고통은 인간과 신의 관계성에서 발생하고, 인간이 저지른 죄와 잘못의 문제는 리타(ṛta)라는 우주의 질서, 사회적 협약을 지키기 위해 신이 내린 형벌로 해결된다. 『리그베다』 제7장의 주인공 바시슈타(Vasiṣṭha) 선인은 바루나신과 우정을 나누는 각별한 사이였으나 리타를 깨는 죄를 짓고, 수종병(水腫病)이란 처벌로 고통받는다. 수종병은 물(āpas)의 신격인 바루나의 속성과 인간의 끝없는 욕망을 상징하는 갈애(渴愛, taṇhā)의 상관관계를 신화적으로 보여주면서 고통을 시각화한다. 이 고통은 ‘진흙의 집(mṛnmayaṃ gṛhaṃ)’으로 표상된 죽음으로 극대화된다. 또한 악(惡)한 행위를 절대 용서하지 않는 엄격한 바루나에게 용서받을 수 있는 죄를 의지(kratu)의 박약과 부주의(acitti)로 한정하면서, 인도신화 특히 베다신화에서 바루나는 질병과 죽음이라는 두 가지 고통을 통해 인간이 죄를 참회하고 용서를 갈구하는 윤리 관념을 제시한다. 그리고 인간이 죄를 짓지 않게 하는 방법으로 리타에 대한 통찰력을 제안하면서, 고통 속에서도 죄의 정화를 통해 신과의 우정을 회복하고자 하는 인간의 희망을 노래하고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contains a problem of ‘suffering’(duḥkha, 苦/苦痛) in Indian mythology. In particular, I concentrate on the origin of the problem of suffering and the God Varuna in the Rig-Veda. In the Veda, human’s suffering is portrayed as a physical punishment of a disease and death of Varuna God. Suffering occu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God, and man’s mistakes and sin are resolved through physical punishment for the order of the universe and the social agreement(ṛta, 天測). The most extreme suffering in the Rig-Veda, death, is symbolized by the ‘House of the Clay’(mṛnmayaṃ gṛhaṃ).
    The House of the Clay episode appears in Chapter 7 of Rig-Veda. The God Varuna punished humans who had been trapped by a dropsy, Vashishta is in which he feels frightened and begs him not to send himself to this house. This episode consists of a narrative structure in which Varuna punishes a man who has been punished by a snare and inflicts dropsy, and the rsi Vashishta despises to fear not to send him to this house. This disease visualizes the suffering by showing the mythological correlation of the attributes of god Varuna of water(apās, 水) and thirst(taṇhā, 渴愛) which symbolizes human endless desire.
    It also limits the sins of human beings, which can be forgiven by the strict Varuna who never forgives evil(pāpa, 惡) acts, as the ‘will power’(kratu, 意志) weakness and ‘carelessness’(acitti, 不注意). In Indian mythology, especially Vedic mythology, Varuna presents a punishment structure in which human beings repent of their sins and crave forgiveness through two kinds of suffering, illness and death.
    In addition, suggesting insights of Rta(true current, dharma) as a way to prevent human beings from committing a sin, it hymns human's hope to restore friendship with God even in the midst of suffer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