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의 법률직 TV 드라마에 나타난 법의식과 법률가의 이미지 - <애드버킷>에서 <검사 프린세스>까지 (Legal Consciousness and Images of Lawyers as Reflected in Korean Legal TV Dramas - From to )

5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3 최종저작일 2010.09
54P 미리보기
한국의 법률직 TV 드라마에 나타난 법의식과 법률가의 이미지 - &lt;애드버킷&gt;에서 &lt;검사 프린세스&gt;까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서울대학교 법학 / 51권 / 3호 / 357 ~ 410페이지
    · 저자명 : 이재협

    초록

    이 글은 법률가를 주인공으로 한 국내 TV 드라마를 분석하여 한국인의 법의식과 법률가에 대한 이미지를 규명하고자 하는 시론적 고찰이다. 이 연구에서는 1998년부터 2010년 사이에 방영된 법률직 TV 드라마 중 5편의 드라마 내용에 대한 텍스트 분석과 3편의 드라마 홈페이지에 남겨진 시청자 게시판 글을 통한 수용자 분석을 하였다. 대부분의 법률직 TV 드라마에서는 검사가 중심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고, 판사는 매우 부분적으로 미약하게 묘사되고 있다. 반면 변호사의 이미지는 매우 다양하게 분화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드라마에서 빈번하게 드러나는 대립구조는 선과 악, 정의와 자본의 대결, 법률가와 비법률가의 시각차 등이다. 또한 피고인의 상처를 어루만지고 억울함을 풀어주는 것이 가장 정의롭고 순리에 맞는 것으로 여겨지는 등, 형식적인 법집행을 넘어서 소송당사자들의 마음을 헤아리는 치유적인 과정이 법적 절차에서 바람직한 것으로 그려지고 있다. 동료애, 우정, 인적 네트워크 등 情적인 측면도 드라마에서 종종 드러나고 있는 한국문화의 코드였다. 시청자 게시판의 글에서는 법률가들에 대한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생각과 이미지가 공존하였고, 드라마에서 표방하고 있는 바가 항상 일방적으로 수용되기보다는 시청자들이 개인적인 해석을 바탕으로 능동적으로 의견을 구성하는 측면이 있다. 우리나라의 법률직 TV 드라마는 법률가의 수적 확대, 로펌의 주도적 역할, 국민참여재판과 법학전문대학원의 도입과 같은 시대적 변화를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s to investigate the legal consciousness and the images of lawyers as perceived by Koreans through analyzing legal TV dramas that feature lawyers as main characters. Text analysis of the drama contents for five legal TV dramas that were broadcasted between 1998 and 2010 was made. In addition, written posts on the internet bulletin board of the three drama web-pages were used for the reception study. In the majority of the legal TV dramas, the public prosecutor played a primary role, whereas the judge was portrayed as playing a very weak and minimal role. On the other hand, lawyers were depicted as diverse and divided in terms of work and personalities. Frequent binary structures were manifested in the dramas, including good versus evil, the battle between justice and money, and the different perspectives of lawyers and non-lawyers. The dramas frequently feature defendants who are falsely charged and a sort of ‘therapeutic justice’ was displayed, where the main lawyer characters were supposed to heal their clients’ wounded hearts through the legal process. The emotional aspect of the Korean cultural code, such as reliance on comradeship, friendship, and the personal network was also found. Drama viewers tend to have both positive and negative images about lawyers as manifested in the web bulletin board. They construct their opinions by combining what they saw in the TV with their personal interpretations, rather than simply accepting what the drama meant to deliver. Korea’s legal TV dramas have reflected the social changes of the Korean society in recent decades; e.g., the increase of the number of lawyers, the important roles of law firms in legal practice, the introduction of criminal jury trials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law school 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울대학교 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