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우구스티누스 사제직의 근본정신: “Ubi humilitas, ibi caritas” (The Foundational Spirit within the Priesthood of Augustine: “Ubi humilitas, ibi caritas”)

5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3 최종저작일 2016.12
50P 미리보기
아우구스티누스 사제직의 근본정신: “Ubi humilitas, ibi caritas”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학전망 / 195호 / 19 ~ 68페이지
    · 저자명 : 변종찬

    초록

    평생 수도원의 고요함 속에서 진리를 관상하는 하느님의 종으로 살고자 염원하던 아우구스티누스에게 있어 391년 히포에서의 사제서품은 분명 삶의 전환점이 되는 사건이었다. 그는 개인적인 유익보다 복음의 요구를 우선시하면서 하느님의 백성에 대한 봉사를 요구한 교회의 부름에 온전히 응답하였다. 교회에 대한 온전한 헌신과 봉사를 요구하는 사제의 삶은 본질적으로 겸손과 사랑이라는 두 축으로 구성된다. 교회의 사람인 영혼의 목자가 사랑으로 생기를 얻고 겸손으로 충만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조건에서 영혼의 목자는 기도로 무장되고 정결과 청빈을 사랑할 수 있으며 또한 말씀의 선포자요 성사 집전자로서 참되게 자리매김 할 수 있다. 그의 직무가 자신을 온전히 희생한 그리스도의 직무의 연장이요 그에 대한 참여이기 때문이다. 백성 위에 으뜸이 된다는 것은 무엇보다 종이 되는 것이다. 거룩한 겸손함을 갖춘 사람이 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겸손함은 진리이신 그리스도 앞에 서 있는 인간의 존재론적 모습으로, 직무를 맡기에 부당하지만 그리스도에 의해 선발되었다는 측면과 그리스도의 모범을 따른다는 측면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겸손이 사랑의 길이라는 측면에서 주님의 양떼를 돌보는 사제의 직무는 사랑의 직무가 된다. 양떼를 위해 자신의 목숨마저도 바치는 측면과 자신의 만족이나 명예와 같은 것이 아닌 오직 그리스도의 것을 찾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사랑의 직무를 성실히 수행할 때 삯꾼이 아닌 참된 목자가 된다. 이 때 목자는 사랑의 의무가 부과하는 여러 사도직 활동을 받아들인다. 이토록 겸손과 사랑이라는 두 축으로 이루어지는 사제직은, 진리를 선포하는 사제 역시 진리로 채워져야 하는 사람임을 분명하게 드러낸다. 다른 말로 한다면, 진리에 대한 관상과 사랑의 직분인 활동의 조화가 사제 안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바로 이것이 아우구스티누스가 관상의 삶의 영역에 활동적인 삶을 결합하여 탄생시킨 사목직 수행을 통한 관상생활이라는 새로운 전망이다.

    영어초록

    For Augustine, who aspired to live his entire life as a servant of God contemplating the truth in the serene silence of the monastic life, his priestly ordination in the year 391 in Hippo definitely served as the turning point of his life. He gave priority to what demanded by the Gospel over his personal benefit, he fully answered to the call of the Church, who insisted him to serve the people of God. The complete devotion to the Church and the life of priest that demands humble service are essentially composed by two axes which are the humility and the charity. Hence, the shepherd of souls, who belongs to the Church, should achieve his vitality by love and be filled with humility. Under these conditions, the shepherd of souls could be fortified by prayer, love poverty and chastity, and truly become the proclaimer of the Word as well as a minister of the sacraments. Because his ministry is an extension of the ministry of Christ, who sacrificed himself completely, and his ministry is also a participation in Christ’s ministry. Whoever becomes the greatest among the people, is to become the servant. Thus, he should be the one with sublime humility. Therefore such humility is composed two aspects, one of which is the selection by Christ regardless of injustice to take his office due to the ontological form of human being who stands before Christ, the truth and the second aspect is the pursuit of the example of Christ.
    The ministry of the priest is to look after Lord's flock there by becoming a ministry of charity, for the reason that humility is the path of love. The priest becomes a true shepherd, not a hireling, when he faithfully dedicates himself to the ministry of charity, which is composed of aspects to even lay down his own life for his flock and to seek only Christ and not himself, such as his own satisfaction or his honor. Presently, shepherds accept various ministries that are imposed by the duties of charity. The priesthood, which is comprised of humility and charity as clarified above, distinctly disclose the fact that the priest, who proclaims the truth, should also be filled with the truth. On the other hand, the harmony of the contemplation upon the truth and the activities based on the ministry of charity should be achieved within the priest himself. And this is the new prospect of the contemplative life practiced through the pastoral ministry, which St. Augustine developed by combining active life with the sphere of the contemplative lif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전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