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항공 안전문화 진단지 가중치 개발 및 관리에 대한 연구 - 조종사를 대상으로 한 ASC-IT 모델 적용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Weight Development of Safety Culture Assessment and the Management of it - Focusing on the Application of the ASC-IT Model to Pilots -)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3 최종저작일 2021.08
23P 미리보기
항공 안전문화 진단지 가중치 개발 및 관리에 대한 연구 - 조종사를 대상으로 한 ASC-IT 모델 적용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항공경영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항공경영학회지 / 19권 / 4호 / 67 ~ 89페이지
    · 저자명 : 김종욱, 김규왕

    초록

    본 연구는 민간항공 조종사를 특정한 항공 안전문화를 진단하기 위한 가중치 개발과 관리에 대한연구이다. 현업과 연계를 하기 위해 국토교통부에서 제시한 ASC-IT 모델의 적절성을 타 산업 분야에서 사용하고 있는 안전문화 진단 모델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ASC-IT 모델은 논리적으로 타당한것으로 확인되었다. 조종사를 특정하기 위해 항공사에서 관리직을 수행하고 있는 조종사인 팀장급 임원 이상이 참여하여 AHP 가중치를 개발했다. 개발 결과 6개의 주요인에 대해서는 안전 행동, 공정성, 책임, 적응, 인식, 정보 순이었다. 21개의 하위요인에 대해서는 안전 행위, 비처벌, 안전/불안전 행동의평가, 안전에 대한 투자, 경영층 관심, 예방 활동, 직원의 관심, 안전에 대한 인식, 평가에 대한 인식, 작업 여건, 상호 간 기대와 격려, 직무만족, 위험에 대한 인식, 자원의 투입, 잠재요인에 대한 태도, 발생사건의 대응, 안전보고 결과, 교육훈련, 안전보고 의지, 안전 관련 의사소통, 안전보고 제도 순이었다. 국토교통부에서는 2년을 주기로 항공사의 안전문화를 진단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안전문화 진단의결과가 조종사를 대상으로 한 관리와 연결하기 위해 PDCA를 검토했다. 프로세스는 민간항공 조종사의 안전문화를 진단하고, 진단 결과 가장 부족한 부분에 대한 대책을 수립, 일정 기간 동안 실행한 후다시 진단하는 방식으로 교정하며, 지속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이다. 정부에서 제시한 ASC-IT 모델을 그대로 사용했기 때문에 논리적인 타당성만 확인했다는 한계, 가중치 개발 연구에 참여한 전문가의 한계 등이 있지만, 민간항공 조종사 안전문화를 정량적으로 진단하고 분석하여 세부적인 관리를 할 수있는 구체적인 프로세스를 제공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향후 항공 산업 분야의 발전을 위해서 한국 상황에 맞는 항공 안전문화 진단 도구를 개발하고, 이에 맞는 안전문화 관리 이론을 정립해야 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is about developing and managing weights for civil aviation pilots to diagnose specific aviation safety cultures. The adequacy of the ASC-IT model presented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was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safety culture diagnostic model used in other industries. As a result, the ASC-IT mode is logically reasonable. More than team leader-level executives perform management positions while flying at airlines to designate pilots participated in developing AHP weights. Six main dimensions of safety culture, Behaviour, Justness, Commitment, Adaptability, Awareness, and information, were in order. Twenty-one sub-factors were Employee behavior with respect to safety, Transferring responsibility, Evaluation of (un)safe behavior, safety investment, Investment in safety, Management commitment, Proactiveness to prevent safety occurrences, Personal commitment, Attention for safety, Perception of evaluation, Work situation, Mutual expectations and encouragement, Job satisfaction, Awareness of work-related risk, Employee involvement, Attitude towards unknown hazards, Actions with regard to safety occurrences, Consequences of safety reports, Safety training, Willingness to report, Communication of safety-related information, Safety reporting system were in order.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encourages airlines to diagnose their safety culture every two years. The PDCA reviewed the results of the safety culture diagnosis to connect with the management of pilots. The process is to diagnose the safety culture of civil aviation pilots, establish countermeasures for the most deficient areas of the diagnosis, and re-diagnose them after practicing them for one year, and continuously improve them. Although the government’s use of the ASC-IT model is limited to logical validation and the limitations of experts involved in weight development research, it is worth it that it provided specific processes to quantify and analyze the safety culture of civil aviation pilots. In order to develop the aviation industry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aviation safety culture diagnosis model, which is suitable for the Korean situation and establishes a safety culture management the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항공경영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