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6세기 한중 서원지의 지식사적 의미 (The Meanings of Korean and Chinese Seowonjis from the 16th Century in terms of Knowledge History)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3 최종저작일 2021.12
40P 미리보기
16세기 한중 서원지의 지식사적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논총 / 79호 / 675 ~ 714페이지
    · 저자명 : 임근실

    초록

    16세기 한・중의 지식인이 書院이란 학술기관을 공통적으로 운영하였다. 이 글에선 한・중의 지식인들이 편찬했던 朝鮮과 明의 書院志를 대상으로 지식사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명의 서원지 6종과 조선의 서원지 2종에 수록된 장서 목록을 검토하여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지식사적 특징을 확인하였다.
    첫 번째, 한・중 서원지를 통해 서적의 기증 사항과 刻板 보유 상황을 파악하여 지식의 유입 및 이동을 확인하였다. 16세기 중엽 백록동서원에선 총 173 종의 서적 중 약 35%인 61종을 8명의 기증자가 기증하였다. 명 백록동서원과 공학서원에서는 각기 9종의 刻板을 수장하여 서원에서 서적을 인출하여 지식을 보급했었던 것을 알 수 있다.
    두번째, 서원에서 수장한 서적을 통해 해당 시기의 서적 편찬 유행 및 지식의 정립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명의 서원지에선 16세기 후반으로 갈수록 地理書가 서원의 장서로 다수 확인되어, 해당 시기 지리서가 활발히 편찬되었던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세 번째, 16세기 한・중의 지식인들이 서원에서 수장한 서적을 비교하여, 이들이 공유했던 지식의 단면을 살필 수 있었다. 22종의 공통 서적은 ① 백록동 서원에선 7종, ② 백록동서원에서 12종, ③ 백천서원에서 4종, ④ 백록동서원 에서 10종, ⑤ 우산서원에서 16종, ⑥ 공학서원에서 1종, Ⓐ 백운동서원에서 17종, Ⓑ 영봉서원에서 16종을 수장하였다.
    네 번째, 16세기 한・중의 지식인들은 서원지에 그들의 지식계보인 道統과 學統을 표출하였다. 한・중 지식인들이 정립한 지식계보는 서원지에 기록된 장서의 순서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16세기 중엽 백록동서원의 지식인은 서적을 기록하는 순서를 통해 주희를 존숭하고, 이정자부터 주희와 육구연으로 연결되는 지식 계보를 나타내었다. 이는 서원지에 道統과 學統을 연결하려 했던 조선의 상황과도 연결되는 지점이다.

    영어초록

    In the 16th century, Korean and Chinese intellectuals commonly operated an academic institution called seowon(書院). The meaning of the historical knowledge was examined for the books of Joseon and Ming compiled by Korean and Chinese intellectuals. By examining the list of collections contained in the six seowonjis of the Myeong and the two seowonjis of the Joseon Dynasty, the current status was identified, and through th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story of knowledge were confirmed.
    First, through the Korean-Chinese seowonji, the inflow and movement of knowledge was confirmed by identifying the contents of book donations and the holding status of bookshelves. In the middle of the 16th century, among the 173 books in Baengnok-dongseowon, about 35%, or 61, were donated by 8 donors. It can be seen that the famous Baeknok-dongseowon and Gonghakseowon stored 9 kinds of books, and they fetched books from the seowon to spread knowledge.
    Second, through the books stored in the seowon,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trend of book compilation and the establishment of knowledge in that period. In the seowonji of Myeongmyung, more and more geography books were identified as the collection of seowons toward the end of the 16th century, suggesting that geography books were actively compiled during that time.
    Third, by comparing the books stored in the seowon by Korean and Chinese intellectuals in the 16th century, it was possible to examine the cross-section of knowledge they shared. The 22 common books are ① 7 types at Baengnok-dongseowon, ② 12 types at Baengnok-dongseowon, ③ 4 types at Baekcheonseowon, ④ 10 types at Baengnok-dongseowon, ⑤ 16 types at Usanseowon, ⑥ 1 type at Gonghakseowon , Ⓐ 17 species were stored in Baekundong seowon, Ⓑ 16 species were stored in Yeongbong seowon.
    Fourth, in the 16th century, Korean and Chinese intellectuals expressed their genealogy of knowledge, orthodox lineage of the Way(道 統) and Confucianism, in the Seowonji. The genealogy of knowledge established by Korean and Chinese intellectuals can also be confirmed in the order of the collections recorded in the Seowon. In the middle of the 16th century, the intellectuals of Baengnok-dongseowon revered Zhu Xi (朱熹) through the order of writing books, and showed a genealogy of knowledge from Two-Cheng(二程) to Zhu Xi and Jiuyuan(陸九淵). This is also the point of connection with the situation of Joseon, which tried to connect the seowonji with the seowonji.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