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모신(地母神)의 등장과 붓다의 정각 (The Appearance of the Earth Goddess and the Enlightenment of the Buddha)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3 최종저작일 2021.02
30P 미리보기
지모신(地母神)의 등장과 붓다의 정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학 / 97호 / 155 ~ 184페이지
    · 저자명 : 도정태

    초록

    약 1-2세기 무렵 불타전(佛陀傳)이 점차 체계화되면서 초기불전에서 볼 수 없었던 지모신(地母神)이 등장하여 붓다와 마라(Māra)의 대결 이야기는 더욱 생동감 있게 묘사된다. 그렇다면 붓다의 정각과 관련하여 초기 경전에서 볼 수 없었던 지모신이 왜 이후 제작된 경전들에서 나타나게 되었는지 의문이 들게 된다.
    인도 전통 신화에 따르면 대지의 여신인 ‘쁘리티위(Pṛthivī)’는 모든 중생을 포용하는 모성애적 특성을 지니며 수호신의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나중에 정통 힌두교의 ‘두르가(Durga)’와 ‘깔리(Kali)’와 같은 여신들의 근간이 된다. 인도 신화를 보면 여신만이 강력한 악마를 물리칠 수 있는 존재로 묘사되는데 모두 ‘어머니’로서의 여신이 강력한 힘을 가지기 때문이다. 또한 동남아시아 국가에서 불교도들은 지금도 지모신과 관련된 의식과 신앙을 실천하고 있다.
    불전에서 처음부터 지모신이 출현한 것은 아니다. 이 지모신의 등장 배경에 첫 시작을 알리는 문헌은 『마하와스뚜』(Mahāvastu)로서 아직 지모신의 모습이 보이지 않지만 그 출현을 암시한다고 볼 수 있다. 이후 더욱 정교해진 『방광대장엄경』이나 『불본행집경』에선 본격적으로 지모신이 직접 몸을 드러내어 엄청난 지진과 굉음을 일으킨다. 이에 마라가 공포에 사로잡혀 기절하지만, 지모신은 자비심에서 차가운 물을 뿌려 기절한 마라를 깨우고 도망가도록 도와주기도 한다. 즉 붓다에게 위해를 가하는 마라의 목숨까지 살려주는 행위는 불교의 자비사상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이고, 이 또한 지모신의 역할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다.
    이들 불교 문헌들은 붓다의 정각이 가능하게 된 이유로서 그가 과거 생에 실천했던 무수한 보시행을 제시하였다. 후대 불타전 편찬자들은 붓다가 현생에서 오직 수행만으로 정각을 성취하기란 불가능하고 과거 생에서 무량한 공덕을 쌓은 덕분에 정각을 이룰 수 있었다고 보았다. 그리하여 그러한 공덕을 더욱 공정하고 강력하게 증명할 수 있는 존재로서 붓다 본인이 아닌 제삼자인 지모신을 내세웠고, 이것이 지모신이 경전에서 등장하게 된 가장 큰 이유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Earth goddesses began to appear in Buddhist texts between the 1st and 2nd century C.E. when the biographies of Buddha were developed. It was at this time that the story of the battle between Buddha and Māra, which was not seen in the early Buddhist texts, had come to be more vividly described. The question arises as to why the earth goddess in relation to the story of Buddha defeating Māra appeared in the later Buddhist scriptures.
    According to traditional Indian mythology, the goddess of the earth, Pṛthivī, not only has the characteristic of maternal love that embraces all life but also serves as a guardian deity, and later becomes the basis of powerful goddesses such as Durga and Kali. In Indian mythology only goddesses are described as being able to defeat powerful demons because goddesses, as mothers, have the greatest force. In Southeast Asian countries, Buddhists still conduct rituals and believe in the earth goddess. For instance, she is summoned as a witness when Buddhists donate. Furthermore she plays a role in the prevention of disasters and expelling evil spirits.
    Perhaps the first Buddhist text which implies the appearance of the earth goddess is the Mahāvastu. Also, in texts such as the Fang Guang Da Zhuangyan Jing (方廣大莊嚴經) and Fo Ben Xing Ji Jing (佛本行集經), the earth goddess helps Māra, who has fainted, wake up and run away by sprinkling cold water out of compassion.


    These Buddhist texts show that the reason why Buddha could attain perfect enlightenment is because he made huge donations in past lives. The earth goddess played a big role in the enlightenment of the Buddha by bearing witness to the Bodhisattva's numerous good deeds and defeating Māra through earthquakes and roaring. It seems that this is the main reason why the earth goddess appeared in the later Buddhist tes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