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식민지 조선에서 ‘헨리·제임스·조이스’라는 기호 (The symbol of 'HenryㆍJamesㆍJoyce' in colonial Joseon)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3 최종저작일 2014.04
25P 미리보기
식민지 조선에서 ‘헨리·제임스·조이스’라는 기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근대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근대문학연구 / 29호 / 7 ~ 31페이지
    · 저자명 : 장성규

    초록

    식민지 조선에서 외국문학의 수용은 빈번히 탈식민적인 효과를 낳았다. 즉, 단순한 외국문학의 ‘이식’을 넘어 나름의 문제설정 속에서 이를 재구성하여 특정한 의미를 담은 ‘기호’로서 활용하는 계기로 삼았던 것이다. 이는 특히 창작의 자유가 극도로 위축된 일제 말기에는 더욱 두드러진다. 이 시기 헨리 제임스와 제임스 조이스의 수용은 이러한 관점에서 조명될 필요가 있다.
    김남천의 「낭비」에는 이 두 작가를 묶어 ‘헨리·제임스·조이스’로 호명하는 장면이 등장한다. 이는 이들이 당시 모종의 불온성을 담지한 기호로 작동했음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헨리 제임스의 경우 당시 국가주의 이데올로기에 반하는 코스모폴리탄적 기호로, 제임스 조이스는 식민지 출신 작가를 암시하는 기호로 작동했던 것이다. 이 기호는 일제 말기 최명익과 유항림의 작품을 해석하는데 상당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최명익의 「폐어인」에서는 로렌스와 지드로 표상되는 보편주의적 미의식이 표출되며 이는 「심문」에서의 ‘방인’의식으로 진전된다. 이러한 보편주의적 지향과 방인으로서의 자기 인식은 ‘헨리·제임스·조이스’라는 기호가 내포하는 식민지 부재의식의 구체적인 발현으로 평가할 수 있다. 한편 유항림의 경우 「부호」등의 작품을 통해 독특한 두 겹 이야기의 구조를 보여준다. 이는 헨리 제임스가 고안한 ‘시점’ 개념을 계승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유항림은 이 구조를 통해 속 이야기와 겉 이야기가 충돌하는 지점에서 독특한 상징과 알레고리를 형상화하는 글쓰기 전략을 구사한다. 특히 이를 통해 과거 카프의 경화된 사회주의적 지향은 물론, 당시 대두하던 파시즘적 지향과도 객관적 거리를 확보하는 내적 형식을 구축한 점은 매우 중요한 성과로 평가될 수 있다.
    기존 연구에서 최명익이나 유항림 등에 대한 평가는 다소 범박한 의미의 심리주의 문학이라는 개념으로 환원된 경향이 있다. 그러나 당대 문학장에서 유통된 ‘헨리·제임스·조이스’라는 기호를 적극적으로 고려한다면, 이들은 당시 파시즘의 대두에 대해 특유의 ‘방인의식’을 표출하거나 혹은 두 겹 이야기의 형식을 통해 이에 대한 객관적 거리 두기에 성공한 것으로 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이는 또한 식민지 조선에서 외국문학의 수용이 지닌 탈식민적 역학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로 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acceptance of foreign literature in colonial Joseon accomplished postcolonial effects frequently. In other words, it was made to be an opportunity used as a 'symbol' containing specific meaning by reconstructing foreign literature in setting its own problems beyond simple 'transplantation' of foreign literature. This appeared remarkably in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zation era when especially the freedom of creation was extremely intimidated. The acceptance of Henry James, James Joyce at this time needs to be illuminated in this respect.
    In Kim Namcheon's 「Waste」, the scene called 'Henry·James·Joyce' appears by combining two writers. This shows that it acts as a symbol to detect they had rebellious ideas at that time in short. In the case of Henry James, he would act as a cosmopolitan symbol contrary to the ideology of Fascism at that time and James Joyce would act as a symbol to imply a writer from a colony. These symbols provide significant implications in interpreting the works of Choe Myeongik, Yu Hangrim in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zation.
    In Choe Myeongik's 「Pyeeoin」, universally aesthetic consciousness represented as Lawrence and Gide is expressed, which advanced to 'Bangin' consciousness in 「Simmun(pattern in mind)」. This universal orientation and self awareness as Bangin can be evaluated to be specific expression of colonial absent awareness to imply the symbol of 'Henry·James·Joyce'. In the case of Ryu Hangrim, it shows the structure of the unique two-fold story through works such as 「Buho」. This can be seen to inherit the concept of 'point of view' that Henry James designed. Ryu Hangrim shows writing strategies to shape unique symbols and allegories at the point the inner story and the external story of the work collided through this structure. In particular, a point of establishing internal format to secure objective distance with fascist orientation emerged at that time as well as socialistic orientation past KAPF was hardened may be evaluated as very important achievements.
    In previous studies, the evaluation on Choe Myeongik, Ryu Hangrim tend to be reduced to the concept of psychological literature with somewhat wide meanings. However, considering positively the symbol of 'Henry·James·Joyce' distributed in the literature of the day, it can be evaluated to be successful in expressing unique 'Bangin consciousness' on the rise of fascism at that time or making objective distance through the type of two-fold story. Furthermore, it can be rated to be an important case to show postcolonial dynamics the acceptance of foreign literature has in colonial Jose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근대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