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허수경 산문과 시의 아버지 표상과 젠더의식 연구 -아버지와의 전기적 관련성을 중심으로- (Representation of Father and Gender Consciousness in Heo Soo-kyung’s Prose and Poetry -Focusing on the Autobiographical Connection with Her Father-)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3 최종저작일 2024.10
37P 미리보기
허수경 산문과 시의 아버지 표상과 젠더의식 연구 -아버지와의 전기적 관련성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우리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우리문학연구 / 84호 / 207 ~ 243페이지
    · 저자명 : 박동억

    초록

    이 글은 허수경의 시에서 아버지라는 시어가 반복하여 나타난다는 사실과 그의 시를 이해하는데 주요한 논점이 되었던 젠더의식을 시인의 아버지와의 관계에 비추어 살피고자 한다. 허수경은 첫 시집 『슬픔만한 거름이 어디 있으랴』부터 여섯 번째 시집이자 마지막 시집인 『누구도 기억하지 않는 역에서』에 이르기까지 아버지를 형상화하거나 시어로서 활용하고 있으며, 산문집과 소설까지 고려한다면 시인의 작품 세계에서 아버지 표상 혹은 부성이 지닌 의의는 간과할 수 없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전기적으로 아버지가 투병하고 돌아가시기 직전까지 가장으로서 가족을 부양해야 했던 20대 초반의 경험은 허수경의 문학과 독일 이주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사건으로 보인다. 시인에게 아버지의 역할을 대신했던 경험은 젠더의식의 형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아버지의 마음과 병환을 충분히 심려하지 못했다는 부채감은 그의 문학에서 아버지와 고향을 떠올리는 것을 두려워하거나 고통으로 느끼는 모티프로 반복한다.
    허수경 시에서 어머니 혹은 모성이 일관되게 자연적 존재나 포용하는 대지모신에 가까운 시어로 활용되는 데 반해, 아버지 혹은 부성은 사회적 주체를 가리키는 시어로 활용되면서 때론 피식민자의 위치에 놓이고 때론 식민 지배자의 위치에 놓이는 양가성을 지니는데, 이는 시인이 아버지에게 지녔던 양가감정이 시 곳곳에 투영되어있다는 사실과 관련지어볼 수도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자전적 요소를 살피며 허수경 시를 이해하는 새로운 단초를 마련하고자 목표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recurring motif of the father in Heo Soo-kyung’s poetry and analyzes its correlations with the poet’s gender consciousness based on her relationship with her father. From her first collection “Where is the Sadness of Manure?” to her sixth and final collection “The Station No One Remembers,” Heo consistently embodies or utilizes the father figure in her work. Considering her prose and novels, the representation of the father and paternal figures is undeniably significant in her literature.
    In particular, the experiences in her early twenties, i.e., when she had to support her family while her father was battling illness and passing away, appeared to have significantly affected her literature and migration to Germany. The experience of assuming her father’s role shaped her gender consciousness, and the sense of guilt over inadequately attending to her father's heart and suffering recurred in her work as a motif of communication breakdown with her father.
    While maternal figures or motherhood are consistently depicted in relation to nature or as nurturing earth goddesses, fathers or paternal figures are portrayed as social subjects alternating between the positions of the colonized and colonizer. This ambivalence reflects the dual emotions Heo harbored toward her father, which is evident throughout her poetry. This study aims to illuminate these autobiographical elements and provide a new perspective for understanding Heo Soo-kyung's poet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우리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