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방대학 문제를 다루는 신문 사설의 프레임과 이슈 속성 : 전국 일간지와 지역 일간지의 비교분석 (Frames and Issue Attributes of Newspaper Editorials Reporting Local University Issues : Comparative Analysis of National and Local Dailies)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3 최종저작일 2024.06
46P 미리보기
지방대학 문제를 다루는 신문 사설의 프레임과 이슈 속성 : 전국 일간지와 지역 일간지의 비교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지역언론학회
    · 수록지 정보 : 언론과학연구 / 24권 / 2호 / 5 ~ 50페이지
    · 저자명 : 김찬중, 김활빈

    초록

    본 연구는 신문 사설이 지방대학 관련 문제를 어떻게 보도하는지 신문 사설의 프레임을 통해 살펴보았다. 지방대 문제를 어떠한 프레임으로 보여주는지 먼저 살펴봤고, 이슈 속성으로서 지방대 위기 문제가 발생한 책임 귀인과 해결방안은 어떠한 것들이 주로 제시되었는지 분석했다. 지역적 이해관계를 반영하는 지방 신문사 조직이 받는 압력에 따라서 뉴스 프레임의 차이가 있다는 프레임 구축을 검증했다. 이를 위하여 전국 일간지와 지역 일간지의 사설을 비교했으며, 정부 시기별로 신문 사설의 프레임의 차이가 있는지도 살펴보았다. 2013년 1월부터 2023년 12월까지의 지방대학 관련 사설을 한국언론진흥재단의 ‘빅카인즈’와 <조선일보> 웹사이트를 이용하여 10개의 전국 일간지에서 109개의 사설을, 그리고 5개의 지역 일간지에서 263개의 사설을 검색한 후 양적 내용분석을 실시했다. 연구 결과 신문 사설은 ‘위기’, ‘개혁 및 구조조정’, ‘배려 및 지원’, ‘지방대 차별’ 등의 프레임으로 지방대학 문제를 다루고 있었다. 지방대 위기 문제에 대한 책임 귀인은 ‘학령인구 감소’, ‘수도권 집중화’, ‘정부 책임’, ‘지방대학 책임’ 순으로 자주 제시되었다. 지방대 위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신문 사설은 ‘정부와 지역사회의 지원 및 협력 강화’, ‘정책 개선’, ‘지역할당’, ‘자율적 개혁’, ‘구조조정’, ‘출구전략’ 순으로 자주 제시되었다. 한편 전국 일간지와 지역 일간지 사이에 주요 프레임의 제시와 책임 귀인 및 해결책 제시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어 지역적 이해관계를 반영하는 지방 신문사 조직이 받는 압력이 지역 일간지의 프레임 선택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 시기별로 신문 사설의 프레임과 책임 귀인 및 해결책 등에서도 분포의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일반 기사가 아닌 사설을 다루었다는 점에서, 그리고 프레임 구축을 검증했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d how newspaper editorials reported issue related to local universities through editorials frames. We first investigated how the problems of local universities were presented, that is, what major frames emerged, and analyzed the attribution of responsibility for local university problems and what solutions were mainly presented as issue attributes. We examined frame building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news frames depending on the pressure on local newspaper organizations that reflect regional interests. We compared the editorials of national and local dailies, and also investigated whether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editorials frames by government periods. From January 2013 to December 2023, 109 editorials related to local universities were collected from 10 national dailies and 263 editorials from 5 local dalies using the ‘bigkinds’ of the Korea Press Foundation and the <Chosun Ilbo> website. After searching for editorials, quantitative content analysis was employed. As a result of the study, newspaper editorials reported local university issues with new frames such as ‘crisis’, ‘reform and restructuring’, ‘consideration and support’, and ‘discrimination at local universities.’ The attribution of responsibility for local university crisis was presented in the following order: ‘reduction in school-age population’, ‘concentration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government responsibility’, and ‘local university responsibility.’ As a way to solve the crisis of local universities, editorials suggested ‘support and cooperation of the government and local communities’, ‘policy remedy’, ‘regional allocation’, ‘self reform’, ‘restructuring,’ and ‘exit strategy’ in that order. Meanwhile, it was analyz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resentation of key frames, attribution of responsibility, and solutions between national and local dailies. Also we found that the pressure on local newspaper organizations that reflect local interests influenced the selection of news frames by local dailies. There were differences in distribution of editorials frames, attribution of responsibility, and solutions by government periods. The study has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examines editorials rather than straight news articles and in that it explores frame build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