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신지체아의 행동조정과 언어적 역할에 관한 고찰 -Luria 이론을 중심으로- (The Discussion on Verbal Mediation of Behavior in Mental Retardation by Luria's Theory)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3 최종저작일 2007.05
17P 미리보기
정신지체아의 행동조정과 언어적 역할에 관한 고찰 -Luria 이론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발달장애학회
    · 수록지 정보 : 발달장애연구 / 11권 / 1호 / 43 ~ 59페이지
    · 저자명 : 여광응

    초록

    Alexander Luria는 50년이 넘는 그의 연구기간을 인간의 정신과정 및 정신지체에 관한 연구에 거의 다 바쳤다. 그는 정신지체아동과 일반아동의 인지기능의 발달에 관한 연구뿐만 아니라 쓰기와 수의적(隨意的) 동작의 발달, 뇌손상을 입은 환자의 지적능력의 결함, 눈의 움직임 기능, 기억력 장애 그리고 다양한 문화 환경에 따른 사고과정에 대해 연구를 했다.
    Luria는 다양한 분야에서 깊이 있게 연구를 하였지만 그의 전 연구영역이 1920~30년대에
    Vygotsky와 공동 연구한 단일개념 틀(single conceptual framework)의 범위를 넘어서지 못하는 것 같다. 이 틀은 Luria의 정신지체에 관한 행동과 언어발달 연구를 포함한 전 연구의 목적, 가정 및 방법론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여기서는 정신지체아의 행동조정에 미치는 언어적 중재에 관한 연구들을 개관하여 두 가지 관점에서 Luria의 연구와 그의 입장을 고찰하였다.
    첫째는 발달적 측면으로 Vygotsky의 개념적 틀에 기초해 Luria의 정신지체에 관한 행동과 언어 연구를 조망해 보는 것이고, 둘째는 비교적 측면으로 정신지체에 관한 Luria의 견해와 Zigler의 견해를 비교해 보는 것이다. 사실 발달론과 차이론 두 이론은 다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15년 이상이나 활발하게 연구되어 졌다. 따라서 이 고찰을 통하여 양 이론에 대한 우열을 가리기보다 정신지체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는 구조적 틀이 제공될 수 있다.

    영어초록

    Alexander Luria's studies in mental retardation can best be understood and appreciated within the context of his whole life's work. During a career that spanned over 50 years, Luria devoted himself to the study of higher mental processes in human beings. He examined the development of cognitive functioning in nonhandicapped and intellectually handicapped children, the development of writing and voluntary movements, disturbances of intellectual capacities in patients with brain lesions, eye-movement mechanisms, mnemonic disorder, and variations in thinking across different cultures. As broad and varied as was the scope of Luria's work, his thinking in all of these areas was unified under a single conceptual framework, which derived from his collaboration with Lev S. Vygotsky in the 1920s and 30s. This framework inspired the goals, hypotheses, and methodology of most of Luria's lifetime research, including his studies in mental retardation.
    I discuss Luria's investigations and views concerning mental retardation from two different perspectives. The first is a developmental perspective, tracing the evolution of Luria's thought and work in mental retardation from Vygotsky's conceptual framework. The second is a comparative perspective, relating Luria's difference and Zigler's developmental views on mental retardation. The fact that the developmental-difference controversy has been a lively and viable one for over 15 years indicates that both viewpoints have particular merits. Thus, by focusing on the underlying conceptual sources of the controversy, it is hoped that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each viewpoint are uncovered, thereby providing a structural framework that could lead to a more complete and better understanding of mental retard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발달장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