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의료취약지 보건의료원 기능 개편을 위한 질적 연구 : 평창군 사례 (Qualitative Research for Reforming the Functions of a Public Health Clinic in a Medically Underserved Area : The Case of Pyeongchang County)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3 최종저작일 2024.11
37P 미리보기
의료취약지 보건의료원 기능 개편을 위한 질적 연구 : 평창군 사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 수록지 정보 : 비판사회정책 / 85호 / 55 ~ 91페이지
    · 저자명 : 박유경, 김호종, 이은후, 한미연, 이승진, 김명희

    초록

    이 연구는 평창군 보건의료원의 기능을 새롭게 설정하고 운영모델을 수립하는 과정에 서 지역주민을 포함한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필요와 의견을 반영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보건의료원 종사자, 주민그룹, 민간 의료공급자, 주민대표, 전문가 등 다양한 이해관계집 단을 대상으로 충분한 정보 제공에 기반해 두 단계에 걸친 참여적 초점집단토의를 실시 하였다. 1단계에서는 평창군 보건의료원의 현재 상황과 지역주민들이 느끼는 보건의료 원 기능의 한계와 기대를 탐색하였으며, 2단계에서는 초점집단토의에서 도출된 의견을 포함해 도출된 보건의료원 기능 개선 방안에 대한 적합성, 현실 가능성, 예상되는 우려 점 등을 종합적으로 수렴하였다. 주민들은 보건의료원에 대해 민간의료기관보다 양적, 질적으로 더 나은 역할을 해주기를 기대하고 있었으며, 외래 전문과목 확충, 입원실 운 영 재개, 노인 대상 포괄적 건강관리, 종합건강검진 서비스 제공 등에 대한 공통적 요구 가 있었다. 보건의료원의 적극적 의료기능 수행과 민간의료기관과의 관계에 대한 인식 차이, 응급실 기능 전환, 예산 확보의 현실성 등에 대해서는 초점집단 간 서로 다른 부분 도 확인되었다. 보건의료원 기능 개선을 위해서는 의료인력 확보가 가장 중요하고 어려운 과제로 인식되었으며, 봉직의 중심 인력 구성, 시니어 의사 활용, 협력체계를 통한 파견 등의 대안이 제시되었다. 참여적 방법은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효과적이고 균형있게 수렴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며, 근거자료의 제공을 통해 피상적인 논의를 줄이고 현장과 연구 사이의 연결성을 높일 수 있었다. 향후 지역보건의료계획과 공공보건의료기 관의 기능 개선을 기획하는 지역에서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적극적 참여 방법의 적용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This study reflects the needs and opinions of local stakeholders in reorganizing the functions and operating model of a public health clinic in Pyeongchang County. Participatory focus group discussions were conducted in two phases. The first phase explored the county's current situation and residents’ expectations of the clinic. In the second phase, opinions on improving clinic functions were collected, addressing issues like expanding outpatient specialties, reopening inpatient units, and providing comprehensive elderly care and health checkups. While residents expected better services than private clinics, differences emerged regarding the clinic's role, emergency department transitions, and budget concerns. Securing medical staff was highlighted as the most pressing challenge, with suggestions such as utilizing senior doctors and cooperative dispatch systems. Participatory methods effectively gathered balanced stakeholder opinions and helped connect research with practical needs. Such methods should be applied in future local healthcare plann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판사회정책”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