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창덕궁 후원 관람지(觀纜池)의 조영과 실체에 관한 재고(再考) (A Re-discussion on the Construction and Identity of Gwallamji Pond in the Rear Garden of Changdeokgung Palace)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3 최종저작일 2022.12
17P 미리보기
창덕궁 후원 관람지(觀纜池)의 조영과 실체에 관한 재고(再考)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전통조경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40권 / 4호 / 32 ~ 48페이지
    · 저자명 : 오준영

    초록

    본 연구는 창덕궁 후원의 관람지(觀纜池)를 대상으로 그동안 곡해된 정보로 수용되었거나 충분히 주목받지 못했던 조영 양상과 역사적 실체를 재조명하였다. 주요 논제는 원지(苑池)의 조영 시기와 재정비, 가설(架設) 목교의 변화, 접안시설의 실재(實在), 평면형태의 변형 여부 등으로 이루어졌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관람지는 고종 연간 발발한 갑신정변 이전에 이미 완결된 상태로 조영되었다. 이후 주변 시설을 비롯한 관람지 일원은 한동안 황폐한 상태로 방치되다가 1900년대 초반에 대대적으로 정비되었다. 기존 논의에서 제시된 ‘관람지 조영 공사의 중단과 재개’ 과정은 뚜렷한 근거를 찾기 어렵다.
    둘째, 관람지에는 형태와 구조가 다른 세 가지 종류의 목교가 순차적으로 가설되었다. 특히 관람지 정비 이후 가설된 두 번째 목교는 「동궐도형」에 묘사된 ‘주교(舟橋)’로 판단되며, 난간에는 대한제국 황실을 상징하는 장식도 가미되어 있었다. 일제강점기에 본격적으로 등장한 세 번째 목교는 일본풍으로 제작된 교량이었다.
    셋째, 관람지의 동쪽 호안에는 승선(乘船)과 하선(下船)을 위한 접안시설이 실존하였다. 접안시설은 「동궐도형」에도 묘사되어 있으며, 일제강점기까지도 잔존하고 있었다. 하지만 해방 이후 관람지 정비공사가 여러 차례 시행되면서 접안시설은 점차 훼손되었고, 현재는 흔적조차 남아 있지 않다.
    넷째, 관람지는 애초부터 현재와 유사한 한반도 모양의 평면형태로 조영되었다. 호리병 모양으로 조영된 관람지가 일제강점기에 한반도 모양으로 개축되었다는 통설은 재고가 필요하다. ‘반도지’라는 용어가 처음 등장한 시기에도 일제가 의도적으로 관람지를 변형시켰다는 인식은 존재하지 않았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construction pattern and historical reality of Gwallamji Pond(觀纜池) in the rear garden of Changdeokgung Palace(昌德宮), which has been received as distorted information and has not received sufficient attention. The main topics consisted of the construction period and reorganization in the pond garden, changes in the installed wooden bridge, the existence of the berthing facility, and whether the plan shape was deform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Gwallamji Pond was already completed before the Gapsin Coup, which occurred in the year of King Gojong. Since then, the Gwallamji Pond area, including the surrounding facilities, has been neglected for a while and was extensively renovated in the early 1900s. It is difficult to find a clear basis for the suspension and resumption of the Gwallamji Pond construction proposed in the previous discussion.
    Second, three types of wooden bridges with different shapes and structures were installed sequentially in the Gwallamji Pond. In particular, the second wooden bridge, which installed after the maintenance of the Gwallamji Pond, is judged to be the pontoon bridge depicted in Donggweoldohyeong(東闕圖形), and the railing of the bridge was decorated to symbolize the imperial family of the Korean Empire. The third wooden bridge, which appeared intensively in Japanese colonial era, was a Japanese-style bridge.
    Third, a berth facility for boarding and disembarking existed on the eastern shore of the Gwallamji Pond. The berth facility is also described in Donggweoldohyeong and it remained until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owever, as the maintenance work of the Gwallamji Pond was carried out several times after liberation, the berth facility was gradually damaged, and there are no traces left now.
    Fourth, The Gwallamji Pond was originally constructed in a planar shape of the Korean Peninsula similar to the present.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conventional theory that the Gwallamji Pond, made in the shape of a gored-shaped bottle, was renovated in the shape of the Korean Peninsula in Japanese colonial era. Even when the term Pandoji Pond(半島池) first appeared, there was no view that the Japanese intentionally modified the Gwallamji Po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