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실어증 환자의 인지능력 프로파일: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 (The Cognitive Profile of Aphasia: A Systematic Review & Meta-Analysis)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2 최종저작일 2016.03
22P 미리보기
실어증 환자의 인지능력 프로파일: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 55권 / 1호 / 83 ~ 104페이지
    · 저자명 : 이미숙

    초록

    실어증 환자는 언어뿐 아니라 주의력, 시지각력, 기억력, 추론력, 집행기능 등 인지능력이 저하될 수 있다. 실어증에 대한 인지적 접근은 임상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님에도 불구하고 평가 및 치료 시 이에 대한 적용이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임상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인지적 수행력에 대한 체계적 고찰이나 메타분석 연구가 매우 적은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어증 환자의 인지적 수행력을 체계적으로 고찰하고, 메타분석을 통해 인지능력 프로파일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0년대 이후의 28개 국내외 문헌을 대상으로 연구의 방법 및 내용에 대해 고찰하였고, 메타분석을 통해 인지의 하위 영역별로 효과크기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분석에 포함된 연구의 대상군에는 40대 이상의 성인이 포함되었으며, 인지의 하위 영역 중 기억력과 주의력에 대한 연구가 많았다. 메타분석을 통해 실어증 환자의 인지능력이 ‘중간’ 정도의 평균 효과크기를 가지며, 하위 영역 중 집행기능이 가장 큰 효과크기를 보임을 입증하였다. 이밖에, 주의력 및 추론력, 기억력 등의 순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실어증 환자의 인지적 수행력에 대한 증거 기반적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인지적 접근의 필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어증 환자의 평가 및 중재 시 인지능력 프로파일을 적용함으로써 임상적 한계를 극복하는 계기를 마련하는 데 기여하였다.

    영어초록

    Patients with aphasia have difficulties in cognition including attention, visuoper ception, memory, reasoning, and executive function, as well as language. Despite the clinical importance of a cognitive approach to aphasia, most aphasic interventions are guided solely by the results of language assessment. Additionally, studies by systematic review or meta-analysis were hardly perform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literatures on the cognitive abilities of aphasia patients systema tically, and to propose the cognitive profile of aphasia using a meta-analysis method. Twenty-eight researches published since 2000, meeting the inclusion criteria, were entered into the analysis. They were analyzed in a methodological and content level, and the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by cognitive domains. As a result, the general target population for studies was adults over the age of 40, and most sources were related to memory or attention. An average effect size of cognition in aphasics was moderate. Executive function had the most signigicant effect size. Domains like attention, reasoning, and memory were also signigicant in effect sizes. Our results provide the evidence-based information to support the necessity of a cognitive approach to aphasia. Current study also can contribute to make good use of the cognitive profile in aphasic interven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6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