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실어증 환자의 단기기억 및 작업기억용량과 실어증 중증도 및 문장처리와의 상관 (Performances on Short-Term and Working Memory Tasks and Their Relationships to Aphasia Severity and Auditory Comprehension in Normal Elderly Adults and People with Aphasia)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2 최종저작일 2010.09
13P 미리보기
실어증 환자의 단기기억 및 작업기억용량과 실어증 중증도 및 문장처리와의 상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수록지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 15권 / 3호 / 285 ~ 297페이지
    · 저자명 : 성지은

    초록

    배경 및 목적: 실어증 환자들의 단기기억(short-term memory) 및 작업기억용량(working memory capacity)의 개인차에 따른 실어증 중증도 및 문장처리능력 차이에 관한 연구가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정상인을 대상으로 개발된 산출을 기반으로 하는 기억기제 평가방법을 실어증 환자들에게 직접적으로 적용하는 데는 다양한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사용되던 단기 및 작업기억과제(Martin, Kohen & Kalinyak-Fliszar, 2008)를 지시하기폭과제(pointing span task)로 변형한 후, 숫자 및 단어로 자극 양상을 조절하여 과제별 수행력 차이를 살펴보았으며, 기억과제들과 실어증 중증도 및 문장처리 능력에 관한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방법: 대상자는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실어증 환자 20명과 정상 노인 30명이다. 단기기억과제로는 숫자 및 단어 바로 따라지시하기 과제가 사용되었으며, 작업기억과제로는 숫자 및 단어 거꾸로 따라지시하기 과제를 사용하였다. 실어증 중증도는 Porch Index of Communicative Ability(PICA)를 통해 평가되었으며, 문장처리능력은 Computerized Revised Token Test(CRTT)를 사용하여 살펴보았다. 결과: 두 집단 모두 단기기억과제에 비해 작업기억과제에서 더 낮은 수행력을 보였으며, 숫자에 비해 단어에서 더 어려움을 보였다. 두 집단 간의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과제는 숫자 거꾸로 따라지시하기 과제였다. 주성분 분석 결과에 따르면, 네 가지 기억과제는 하나의 공통적인 성분으로 추출될 수 있으며, 총분산의 80% 가량을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네 가지 기억과제의 공통적인 기제를 개념화하자면, 짧은 시간동안 정보를 저장하거나 조작하는 데 기여하는 인지적 기제라고 할 수 있다. 네 가지 기억과제 중, 실어증 중증도와 실어증 환자의 문장처리 수행력을 유의하게 예측한 변수는 숫자 바로 따라지시하기 과제였다. 작업기억용량이론에 바탕을 둔 결과 해석이 논의되었으며 한국어를 사용하는 실어증 환자를 위한 작업기억과제 개발에 대한 필요성도 제기되었다.

    영어초록

    Background & Objectives: Short-term memory and working memory capacities have gained considerable attention as underlying cognitive mechanisms, which may account for language processing difficulties in people with aphasia.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to the employment of short-term and working memory tasks for assessing normal cognitive processing in order to evaluate language-impaired clinical populations.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1) the performance differences between people with aphasia and normal elderly adults in short-term memory and working memory tasks when the stimuli modality was manipulated using digits and words and 2) how their performances on the memory tasks were related to aphasia severity and sentence processing. Methods: Twenty people with aphasia and 30 normal elderly adults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Digit forward and word forward span tasks served as short-term memory tasks, and digit backward and word backward span tasks served as working memory tasks. Porch Index of Communicative Ability (PICA) was used as a measure of language impairment severity, and the Computerized Revised Token Test (CRTT) was a measure of sentence processing. Results: Both groups showed greater difficulties in working memory tasks than short-term memory tasks and those involving words compared to those involving digits. The greatest group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digit backward span task.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of four span tasks revealed that a one-factor solution accounted for approximately 80% of the total variance in both groups, indicating that the four span measures served as a unified index of the underlying memory-related cognitive mechanism that is responsible for maintaining and manipulating information. Among the four span measures, the digit forward task significantly predicted aphasia severity and sentence-processing abilities in people with aphasia. Discussion & Conclusion: Results were partially consistent with the working memory capacity theory. Korean versions of short-term and/or working memory span tasks need to be develop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underlying cognitive mechanisms responsible for language impairments in aphasi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