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퍼스의 실재론적 프래그머티즘과 탐구 논리 (C. S. Peirce's View of Reality and the Logic of Inquiry: Its Implications for Inquiry Learning)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2 최종저작일 2010.06
22P 미리보기
퍼스의 실재론적 프래그머티즘과 탐구 논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철학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철학연구 / 48호 / 1 ~ 22페이지
    · 저자명 : 김무길

    초록

    프래그머티즘의 창시자인 퍼스에 의하면, ‘관념 명료화의 준칙’은 과학적 관념의 검증뿐만 아니라, 모든 지식의 검증에도 적용 가능한 일반적 탐구논리이다. 그러나 퍼스의 의도와 달리, 그의 준칙이 종래의 감각경험론이나 과학적 검증에만 국한되는 논리가 아닌가 하는 의문이 제기될 수 있다. 왜냐하면, 행위적 검증이나 관찰이 필요하지 않은 다수의 관념적 지식들도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 점에서 퍼스의 준칙의 지위가 정확히 어떤 것인지는 불분명하다. 이러한 모호성을 배제하고 퍼스의 진의를 올바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퍼스의 준칙 이면에 담겨있는 실재론적 관점을 이해하지 않으면 안 된다. 왜냐하면, 퍼스의 준칙 밑바탕에는 인식의 존재론적 근거를 중시하면서도 이상적인 실재를 지향하는 스콜라 철학의 실재론적 관점이 담지되어 있기 때문이다. 비록 스콜라 철학과 퍼스의 관점이 온전히 일치하는 것은 아니라고 하더라도, 인간의 감각 경험과 지성적 사고를 경유하여 ‘일반자’로서의 진리에 도달하고자 한 점은 양자의 공통점으로 드러난다. 특히 퍼스는 그의 독특한 탐구논리인 ‘귀추법’에 의거해서 인간의 탐구과정을 구체화하였다. 즉, ‘의심-사고-믿음’으로 나아가는 연속적이고 개방적인 탐구논리는, 보다 확실한 진리를 지향하는 진화론적 탐구과정을 잘 보여주는 것이다. ‘실재’는 바로 그러한 탐구과정의 궁극적 귀결점으로서 공동체에 의해 확정된 믿음의 대상을 가리킨다. 이 점에서 실재는 개별적 의견과는 독립성을 띠며, 실재에로의 도달은 탐구공동체가 지향해야 할 목적이 된다. 만약 현대적 탐구학습 개념에 퍼스의 이러한 탐구논리가 배태(胚胎)되어 있다면, 교육사상사의 측면에서 그의 프래그머티즘을 재음미하는 것은, 관념 명료화 준칙의 지위를 명료히 하는 일이 됨은 물론, 오늘날 탐구학습의 본질을 이해하는 데에도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해줄 것이다.

    영어초록

    C. S. Peirce, as a representative thinker of Pragmatism, is well known as his rule of making ideas clear. According to Peirce, his inquiry rule is not a principle only applied to the verification of scientific ideas, but also applied to the verification of all knowledges. But a serious question about the status of his rule may be raised. It is the question that his rule would be a logic applied only to the verification of scientific ideas. Because there can be many idealistic knowledges that do not need the scientific observation or verification. In this respect, it is not clear what is exactly the status of Peirce's rule. In order to exclude this vagueness and to understand Peirce's real intention, we have to understand his realistic viewpoint in pragmatism rule. Because there is scholastic philosophy's realism to put emphasis on the external chance of human cognition at the root of Peirce's rule. Although scholastic philosophy and Peirce's viewpoint do not coincide in all aspects, it can be said that the two's point is commonly to put emphasis on the human's sense experience to reach to the external reality. Especially, Peirce was to specify human's inquiry process from the standpoint of the method of 'abduction', his unique logic of inquiry. His logic of inquiry following the continuous process of 'doubt-thinking-belief', reveals the evolutional process of human cognition toward more certain acquisition of knowledge. Ultimate terminus of such inquiry is to reach to the external reality. For Peirce, reality means the object of belief determined by the common consent of inquiry community. In this respect, reality is irrelevant to the personal opinion or taste, and it can be said that reality is the aim of inquiry. If there is Peirce's logic of inquiry in the modern concept of inquiry learning, re-interpreting of his inquiry logic is to make his inquiry rule more clear, and to provide som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modern inquiry learn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