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생쥐 소장 카할세포의 pacemaker potential에서 미르타자핀 효능에 관한 연구 (Mirtazapine Regulates Pacemaker Potentials of Interstitial Cells of Cajal in Murine Small Intestine)

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1 최종저작일 2021.07
9P 미리보기
생쥐 소장 카할세포의 pacemaker potential에서 미르타자핀 효능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생명과학회
    · 수록지 정보 : 생명과학회지 / 31권 / 7호 / 662 ~ 670페이지
    · 저자명 : 김병주

    초록

    카할세포는 위장관 근육의 pacemaker 세포이다. 이번 연구는 생쥐 소장에서 얻은 카할세포를 배양하여 노르아드레날린성 및 세로토닌성 항우울제인 미르타자핀의 효과를 조사했다. 전기생리학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카할세포의 pacemaker potential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미르타자핀은 농도 의존적 ​​방식으로 카할세포 탈분극을 일으켰다. Y25130 (5-HT3 수용체 길항제), RS39604 (5-HT4 수용체 길항제) 또는 SB269970 (5-HT7 수용체 길항제)은 미르타자핀에 의한 카할세포 탈분극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무스카린성 M2 수용체 길항제인 메톡 트라민은 미르타자핀에 의한 카할세포의 탈분극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반면, 무스카린성 M3 수용체 길항제인 4-DAMP는 카할세포의 탈분극을 억제하였다. GDP-β-S를 피펫을 통해 카할세포내로 넣었을 때, 미르타자핀에 카할세포 탈분극이 억제되었다. 외부에 칼슘이 없는 용액 또는 소포체의 Ca2+-ATPase 억제제인 thapsigargin이 있는 경우 미르타자핀에 의한 카할세포 탈분극이 나타났다. 또한, protein kinase C (PKC) 억제제인 칼포스틴 C 또는 chelerythrine은 미르타자핀에 의한 탈분극을 억제했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미르 타자핀이 카할세포에서 G 단백질 및 PKC 경로에 의한 무스카린성 M3 수용체 활성화를 통해 탈분극을 조절 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미르타자핀이 카할세포를 통해 위장관 운동성을 조절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어초록

    Interstitial cells of Cajal (ICCs) are the pacemaking cells in the gastrointestinal (GI) muscles that generate the rhythmic oscillation in membrane potentials known as slow wave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irtazapine, a noradrenergic and serotonergic antidepressant, on pacemaking potential in cultured ICCs from the murine small intestine. The whole-cell patch-clamp configuration was used to record pacemaker potential in cultured ICCs. Mirtazapine induced pacemaker potential depolarization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in the current clamp mode. Y25130 (a 5-HT3 receptor antagonist), RS39604 (a 5-HT4 receptor antagonist), and SB269970 (a 5-HT7 receptor antagonist) had no effects on mirtazapine-induced pacemaker potential depolarizations. Also, methoctramine, a muscarinic M2 receptor antagonist, had no effect on mirtazapine-induced pacemaker potential depolarizations, whereas 4-diphenylacetoxy-N-methyl-piperidine methiodide (4-DAMP), a muscarinic M3 receptor antagonist, inhibited the depolarizations. When guanosine 5'-[β-thio] diphosphate (GDP-β-S; 1 mM) was in the pipette solution, mirtazapine-induced pacemaker potential depolarization was blocked. When an external Ca2+ free solution or thapsigargin, a Ca2+-ATPase inhibitor of the endoplasmic reticulum, was applied, the generation of pacemaker potentials disappeared, and under these conditions, mirtazapine induced pacemaker potential depolarizations. In addition, protein kinase C (PKC) inhibitor, calphostin C, and chelerythrine inhibited mirtazapine-induced pacemaker potential depolarizat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mirtazapine regulates pacemaker potentials through muscarinic M3 receptor activation via a G protein-dependent and an external or internal Ca2+-independent PKC pathway in the ICCs. Therefore, mirtazapine can control GI motility through ICC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생명과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