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통일 후 한-중 국경 문제에 관한 국제법적 고찰 (The Boundary between Unified Korea and China from International Law Perspective)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1 최종저작일 2010.12
28P 미리보기
통일 후 한-중 국경 문제에 관한 국제법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국제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법학회논총 / 55권 / 4호 / 117 ~ 144페이지
    · 저자명 : 이근관

    초록

    한국사회 일부에서는 (현재 중국의 실효적 지배 하에 있는) 간도 지역에 대한 한국의 (잠재적) 영토적 주장에 대해 활발한 논의가 진행되어 왔다. 이러한 논의는 간도 지역에 대해 중국의 영유권을 인정한 1909년 청-일 간 ‘간도협약’의 무효론에 기초하고 있다. 이 조약이 무효인 이유로서는 1909년 당시 일본이 이 지역에 대한 영토주권을 처분할 권한이 없었다는 점이 주로 제시된다(‘Nemo dat quod non habet').
    이 글에서는 지금까지 상대적으로 논의가 적었지만 간도협약보다 더 중요할 수 있는 문제, 즉 1962년 조중변계조약, 1964년 조중변계의정서가 통일한국에 대해 대항력을 갖는지 여부에 대해 국제법적 고찰을 행하였다. 이러한 고찰을 위해 (i) 영토, 국경 및 1909년 간도협약에 대한 북한의 국제법적 인식, (ii) 1978년 조약의 국가승계에 관한 비엔나 협약 제11조, 제12조의 ‘입법’ 경위, (iii) 국경 및 기타 영토적 체제의 승계에 관한 국제판례법 및 국가실행, (iv) 이 문제에 관한 실정국제법과 간도 문제와의 관련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러한 고찰에 따르면, 현행 국제법은 ‘국경 안정성의 근본적 원칙’(1994년 리비아/차드 사건에서 ICJ가 사용한 표현)에 압도적 중요성을 부여하고 있다. 이 결론을 간도 문제에 적용하면, 1962년 및 1964년 조약의 이행에 의해 성립된 북한과 중국 간 국경이 통일한국에 대해서 ‘자동승계’될 가능성이 상당하다. 따라서 통일 후 한-중 국경 문제에 관련된 국제법적 원칙과 규칙을 새로운 각도에서 객관적으로 또한 심층적으로 연구할 필요성이 절실하다.

    영어초록

    In some quarters of Korea, the (potential) territorial claim of Korea over the Gando area (presently under the effective administration and control of China) has been hotly discussed. Such discussion is founded on the nullity of the 1909 convention on the Gando area concluded between Qing China and Japan whereby the former's territorial sovereignty over the area was recognized. This agreement is claimed to be null and void because Japan was not in a position to dispose of Korean sovereignty over the region ('Nemo dat quod non habet').
    In this article, I have tried to look into the question of arguably superior importance that has been somewhat neglected up to now, ie, the opposability vel non of the 1962 and 1964 agreements between North Korea and China on boundaries between them. In so doing, I discussed (i) North Korean conceptions on territory, boundary and the 1909 convention, (ii) the 'legislative history' of Articles 11 and 12 of the 1978 Vienna Convention on Succession of States in Respect of Treaties, (iii) international jurisprudence and state practice on succession in respect of boundaries and other territorial régimes, and (iv)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international law on the issue and the Gando question.
    My investigation has shown that current international law accords an overwhelming importance to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the stability of boundaries', as was expressed in the 1994 Territorial Dispute case. If one applies this conclusion to the question at hand, there is a high probability that the boundaries established by the implementation of the 1962 and 1964 agreements would be subject to 'automatic succession' even vis-à-vis unified Korea. This highlights the need for an objective and in-depth analysis of the relevant rules and principles of international law from a new perspecti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제법학회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