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담헌 홍대용의 연행 중 교우활동과 교육적 의의 (During Damhun(湛軒) Hong, Dae-Yong(洪大容)' Yeon-am(燕巖), the Friendship(交友) Activity and the Educational Meaning)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1 최종저작일 2011.04
31P 미리보기
담헌 홍대용의 연행 중 교우활동과 교육적 의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상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사상연구 / 25권 / 1호 / 167 ~ 197페이지
    · 저자명 : 최두진

    초록

    이 연구는 담헌 홍대용(1731-1783)이 연행(燕行)이후 보다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교우활동을 함으로써, 첫째 당시에 어떤 교육적 영향을 미쳤으며, 둘째 오늘날 우리에게 어떤 교육적 시사점을 주는가를 파악하기 위해, 「을병연행록」을 바탕으로 진행하였다.
    담헌 홍대용은 김원행의 문하생으로서 실천할 수 있고 실제로 유용한 학문에 관심을 가졌다. 석실서원에서 김원행 문하의 여러 인물들과 접하고 나주에서 나경적 등과 교류하면서 학문에 힘을 기울였을 뿐만 아니라, 이론을 바탕으로 실제 혼천의와 자명종을 제작하는 등 실천에 힘을 기울이기도 하였다. 35세(1765)때 홍대용은 서장관이 된 숙부 홍억이 연행을 가게 되자 자제군관으로서 동행하게 되었다. 홍대용은 이 연행의 내용을 자세히 기록하여 「을병연행록」이라는 여행일기를 저술하였다. 6개월에 걸친 이 연행일기를 보면, 연행 중 실제 북경에서 있었던 기간은 2개월에 불과하다. 이 기간 동안 자제군관으로서 홍대용은 자금성은 물론이고 태학과 천주당을 비롯하여 서산 등을 답사하였다. 그리고 간정동이라는 작은 골목에서 항주 출신의 엄성․반정균․육비와 더불어 교우활동을 하였다. 홍대용의 교우활동은 한 달 가량 지속되었으나 이 짧은 기간의 만남을 통하여 결국 이들 세 명과 허물없는 천애의 지기를 이루었다.
    이와 같이 홍대용과 엄성․반정균․육비의 교우활동은 이후 박지원을 비롯하여 이덕무․박제가․유득공과 같은 조선의 지식인들에게 크게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중국에서는 이조원․이정원․진전 등 중국의 지식인들에게도 영향을 주었다. 특히 온갖 어려움 속에서도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교우활동을 통하여 결국 상호신뢰․상호존중․상호성장의 교육적이고 창조적인 만남으로 승화시켰던 홍대용의 삶은 우리가 몸소 본받아야할 교육적 귀감으로 사료된다.

    영어초록

    Educational innovation has been changed on the basis of the nation’s interest. The teacher has taught and the student has learned what the nation chooses as value. Under this kind of syste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 and the student is only one-sided. Though the student can ask questions to the teacher, mostly the teacher teaches the knowledge to the students. And the teacher- centered education has been criticised. These days the student-centered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For student-centered education, the school system that is focused on the teacher-student relation is needed.
    We take a look the fellowship among the students for the change. We can think the fellowship as students’ play at breaktime or students’ act after class. But in a broad sense we can regard student’s interaction with their friends helping their understanding in the class as fellowship. Learning from the friend may cause better understanding than learning from the teacher. Consequently, in this research, we consider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fellowship.
    Hong Dae-yong is one example of the fellowship who is a realist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in 18C and the leader of Buk-hak School(北學派). He went to China as a diplomat with his uncle, Hong Yeuk. We can notice that he was more interested in making friends with Um Sung(嚴省), Ban Jung-kyun(潘庭均), Yuk Bee(陸飛) from Hangzhou(杭州) than looking Chinese Culture and Customs through his writing「Eul-Byung Yeonhaenglok(乙丙燕行錄)」. They met several times within a month and discussed many subjects from their study to history, Jujahak(朱子學), Yangmyunghk(陽明學), astronomy, math, music, the Public Service Examination(科擧), character(人格), etc. with letters. They kept in touch with each other by letters even Dam-heon(湛軒) Hong Dae-yong came back to Joseon. Through these fellowship they could understand each other and develop their thought.
    In the former system similar to school like Seonggyun-gwan(成均館), Seowon(書院), Seodang(書堂), the teacher leaded the student and only focused Jujahak, so it was difficult to make the diversity of thought. Hong Dae-yong gave the influence on the other realists like Yeon-am(燕巖) Pak Ji-won(朴趾源), ChoJung(楚亭) Pak Je-ga(朴齊家), Chung-Jang-kwang(靑莊館) Yi Deok-mu(李德懋). Fellowship was not limited by place. We can make it wherever we want. In conclusion, we need to think about the change of school system from teacher-centered education to voluntary school system which is focused on the fellowship.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사상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7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