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덕촌 양득중의 가계와 추숭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mily lineage and reverence in Yang Deuk jung)

6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1 최종저작일 2020.09
60P 미리보기
덕촌 양득중의 가계와 추숭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양명학회
    · 수록지 정보 : 양명학 / 58호 / 5 ~ 64페이지
    · 저자명 : 김승대

    초록

    이 글은 조선후기 실학과 양명학 분야에 중요한 인물로 평가되는 덕촌 양득중에 대한 가계 분석과 死後 追崇에 관한 연구이다. 그의 삶과 사상을 재조명하는 기초작업의 일환으로 먼저 그의 선대, 외가, 처가, 자손들의 연혼 및 세거지 변천 등의 가계 분석을 통해 양득중의 삶의 기반을 찾고자 하였다. 아울러 양득중이 죽은 후 남겨진 발자취를 찾는 과정에서 문집 발간, 영정 봉안, 묘비 건립 등에 대한 후손들의 추숭 작업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학포 양팽손은 己卯名賢으로 도학적 이상사회를 구현하려던 학자였다. 그의 자손들은 文學과 行誼가 저명한 家學과 兩亂時 節義가 있었고, 덕촌은 어려서부터 이러한 가학의 전통을 집안의 강학공간인 ‘小心齋’를 통해 배워 나갔다. 고조 양산형과 증조 양범용은 하동정씨, 선산임씨 가문과의 연혼을 통해 영암지역의 재지적 기반을 확대해 나갔다. 덕촌의 외증조인 은봉 안방준은 ‘도학과 절의가 하나인 眞儒’로 성혼의 학맥을 잇고 있는데, 성혼의 외증손 명재 윤증과 덕촌의 師弟의 연원이 도출된다.
    덕촌의 삶의 전환기는 부인 반남박씨와 첫 스승 아천 박태초의 죽음이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특히 시남 유계의 문인인 아천은 덕촌 처가와 인척으로 맺어진 師門이었다. 이후 덕촌은 연안이씨와의 재혼하였고 명재 윤증의 高弟가 되어, 영암 영계에서 공주 덕촌으로 이사하며 관료와 학자로서의 깊이를 더해갔다.
    덕촌의 자녀는 5남으로 특히 차남 양순흠의 妻家인 부안의 김서경 가문이 주목된다. 김서경은 반계 유형원과 제자이며, 그의 아들은 덕촌과 교유하였고, 손자는 덕촌의 門人이 된다. 셋째 아들 양순채는 보성의 학포 문중에 養子로 갔는데, 당시 노론의 辛壬士禍와 연계된 보성 문중에 소론 양득중이 큰 도움을 주었다. 또한, 넷째, 다섯째 아들 양순해와 양순희의 묘와 자손의 세거지가 부안지역으로 확인된다.
    덕촌의 외증손 윤인기는 윤광소의 문인으로, 덕촌의 아들 양순해가 수집한 유문을 가지고 『덕촌집』을 발간한 것으로 보인다. 필자가 최근 현지조사 과정에서 발굴한 『德村義草』 등 6책 145편의 덕촌의 遺文은 향후 시급한 연구가 필요하다. 덕촌의 영정은 그의 고향인 영계에 1864년 영당을 만들어 보관하여 전해져 내려오고 있으며, 덕촌의 묘비명과 묘갈은 1907년에 와서야 짓고, 1917년에 건립되었다. 묘비 건립을 주도한 양신묵은 보성으로 養子 간 양순채의 8세손으로 당대의 양명학자인 난곡 이건방에게 비문을 요청하였고, 난곡은 비문에서 ‘덕촌에 대한 존숭의 마음, 아천 박태초의 양명학적 가르침, 후손들의 黨禍로 인한 덕촌의 공정한 평가가 이루어지지 못함’을 역설하고 있다.

    영어초록

    Deokchon(德村) Yang Deuk-jung(梁得中) was an important figure in the field of Silhak(實學) and Yang-ming Studies(陽明學)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is article examined the household analysis of Yang Deuk-jung and the respect after his death. The current study reexamines his life and thoughts. First, he tried to find the basis for his life through family analysis of his ancestors, mother-in-law, wife-in-law, the marriage of his descendants, and the change of residence.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finding the footsteps left behind after Deokchon died, the work of respect on the publication of books, archive of portraits, and the construction of tombstones was also considered by the descendants.
    Yang Paeng-son was a scholar who tried to realize an ideal society. His will is that literature and thought have been preserved since childhood. He learned through his family’s school, Sosimjae(小心齋). His great-grandfather Yang San-hyung and his great-grandfather Yang Beom-yong married major families in the Yeongam region and expanded their regional base.
    Ahn Bang-joon, Yang Deuk-jung’s great-great-grandfather, was a true Confucian scholar whose academic and prosperity were one. He succeeded Seong-hon’s academic tradition; and Yang Deuk-jung’s teacher, Yoon Jeung, was also mistreated by Seong-hon.
    The turning point of Yang Deuk-jung’s life was fulfilled by the death of his first wife and first teacher, Park Tae-cho. He is a scholar related to Yang-ming Studies. After remarrying with his second wife, Yun Jeung, his lifelong teacher, became a key student. He moved from the Yeong-am area to the Gong-ju area and added depth as a bureaucrat and scholar.
    His second son, Yang Soon-heum, among five sons, married the Kim Seo-gyeong family in Buan. In particular, it is noted that Kim Seo-kyung is a student of Ryu Hyeong-won, a famous scholar. The third son is Yang Soon-chae, who was adopted to the Boseong area.
    His maternal great-grandson, Yoon In-ki, published his book, Deokchonjib(德村集). In the course of a recent field study, I discovered 145 important documents related to Yang Deuk-jung. Urgent research is needed in the future. His portrait is kept in his hometown. He built a shrine to honor him. Tombstones are erected in his graveyard. Lee Kun-bang wrote in 1907, and Yang Shin-muk, a descendant, built it in 1917. Lee Kunbang is a Yang-ming scholar. Lee Kun-bang honored Yang Deuk-ju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