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역적 변이형으로서의 중복합과거 연구 (L'étude sur le passé surcomposé dans sa variante dite 'régionale')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1 최종저작일 2013.06
29P 미리보기
지역적 변이형으로서의 중복합과거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프랑스어문교육 / 43호 / 167 ~ 195페이지
    · 저자명 : 김경자

    초록

    프랑스어 중복합과거는 주절 동사가 복합과거로 놓일 때 quand이나 lorsque로 시작되는 시간종속절에 특히 자주 사용되는 시제이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주절문장의 사건보다 바로 앞서 일어난 동작을 나타낸다. 프랑스어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시제로 구어체에서만 드물게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이러한 중복합과거가 프랑스 남부와 프랑코프로방스, 스위스로망드에서는 복합과거를 대신하여 흔하게 사용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중복합과거가 대신하고 있는 복합과거는 경험완료의 가치를 가진 것이다.
    경험완료 복합과거를 대신하는 중복합과거는 경험완료의 가치를 코드화하는 형태로서 경험완료 복합과거와는 달리 그 가치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부사나 특별한 문맥적인 표지에 의존하지 않는다. 독립절에 단독으로 사용되어 재빨리 완료된 동작을 표현하는 중복합과거는 현재와 과거사이의 대조를 만들어주는데, 이러한 상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논증적인 추론을 이용할 수 밖에 없다.
    존재적 완료가치, 경험적 완료와 같은 부분에 대하여 좀더 면밀한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보이며 이에 관한 부족한 부분은 차후의 연구과제로 미루어 두었음을 밝히는 바이다.

    영어초록

    On observe ce passé surcomposé surtout dans des subordonnées temporelles introduites par quand ou lorsque, quand le verbe de la phrase principale se met au passé composé. Dans cette construction, le passé surcomposé prend la valeur d'antérieur et marque une action qui s'est produite immédiatement avant l'événement de la phrase principale.
    Le passé surcomposé est un tiroir peu utilisé en français : on l'observe surtout dans la langue orale. On sait qu'aux temps composés du passé, le présent de l'auxiliaire J'ai (J'ai entendu) est parfois remplacé, surtout dans la langue parlée, par : J'ai eu (j'ai eu entendu, tu as eu entendu, il a eu entendu, etc). Ces temps dits <surcomposés>, employés surtout après : quand, lorsque, aprè que, dès que..., traduisent des actions antérieures à une action principale exprimée au passé composé. Le passé surcomposé peut marquer, dans une proposition indépendante, une action vite accompli.
    L'objectif de cette étude est de montrer que le passé surcomposé dans la variante régionale est une forme verbale qui grammaticalise la valeur appelée ‘parfait existentiel’. C'est-à-dire, nous voudrions que cet article est de reconsidérer cette question en rapprochant cette forme des emplois du passé composé étiquetés comme <parfaits d'expérience>, au sens de Comrie (1976).
    De l'avis de la plupart des linguistes qui l'ont étudié, le passé surcomposé dans sa variante dite <régionale> pose de redoutables problèmes d'analyse, sémantiques et aspectuo-temporels en particulier.
    On a vu qu'au plan des événements, le passé surcomposé permet d'exprimer l'antériorité par rapport à une action qui est accomplie au moment de la parole. Le passé surcomposé prend dès lors une valeur aspectuelle accomplie et globale.
    Au plan des événements, le passé surcomposé se rattache au repère de base "maintenant" et rapporte des événements globaux, accomplis au moment de la parole.
    Il apparaît que ce surcomposé surcomposé présente, relativement au PC employé comme parfait d'expérience, trois propriétés distinctives : Premièrement, il est une forme qui encode la valeur de parfait d'expérience. Il n'est donc pas tributaire d'indices contextuels particuliers ni de <déclencheurs> pour produire cette valeur. Deuxièmement, son intervalle de validation est par défaut situé intégralement dans le passé, borne terminale comprise. Cette caractéristique invite à inférer que la situation désignée est actuellement non répétable. Troisièmement, contrairement au PC, le surcomposé surcomposé paraît extrêmement réticent à certains emplois inférentiels, notamment explicatifs et abductifs.
    Il semble que le passé surcomposé existentiel est fréquemment utilisé pour établir un contraste entre le passé et le prés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프랑스어문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