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의 민속통제와 집단놀이의 쇠퇴: 줄다리기를 중심으로 (The Folklore Regulations and the Decline of Collective Match in Korea Under Japanese Imperial Rule)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1 최종저작일 2012.09
40P 미리보기
일제의 민속통제와 집단놀이의 쇠퇴: 줄다리기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95호 / 117 ~ 156페이지
    · 저자명 : 공제욱

    초록

    한국의 전통사회에서는 오늘날 우리가 축제라고 부를 수 있는 집단놀이들이 많이 행해졌다. 이 중에서 현재의 우리들에게는 낯설지만, 전통사회에서 가장 많은 사람들이 열광했던 집단놀이는 돌팔매싸움(石戰), 횃불싸움, 줄다리기였다. 이러한 집단놀이들은 일제시기를 거치면서 사라져 갔는데, 이 연구는 일제시기를 거치면서 사라져 간 집단 놀이들과 그 쇠퇴과정을 줄다리기를 중심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신문기사를 통해 본 전체적인 줄다리기 개최 현황의 흐름은 1910년대에 금지되면서 일시적 소강상태가 있었으나, 1920년대 초반에 부활하여 1920년대 후반에는 그 전성기를 누리다가 1930년대에 점점 쇠퇴하기 시작하여 1937년 이후로 자취를 감추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일제 하에서 줄다리기는 일방적으로 금지되어 사라지거나 쇠퇴된 것은 아니었다. 적어도 1920년대에 대규모 줄다리기 대회는 일종의 부흥기가 있었다. 1930년대에는 줄다리기 대회 개최 횟수도 줄어들고 관람객의 수도 줄어들지만 쇠퇴의 과정에서도 여전히 대규모 대회가 존재하고는 있었다. 물론 일제 하 대규모 줄다리기 대회는 일제의 허가를 받아야만 했고, 때론 다양한 이유로 금지되는 일이 반복되었다. 대규모 줄다리기를 둘러싸고 조선총독부, 근대적 지식인, 식민지 민중 사이의 긴장과 대립이 이어졌다. 식민지 민중은 줄다리기를 금지하거나 규모를 축소시키려는 당시 경찰에 대해 분노를 표출하거나 불만을 토로하는 방식으로 저항하였다. 그러나 일제와는 다른 각도에서 식민지 민중이나 지식인이 모두 줄다리기와 같은 전통 놀이에 대한 지지를 보냈던 것은 아니다. 식민지 하에서 근대성을 추구한 일단의 근대적 지식인들은 줄다리기에 대한 비판과 개선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지속하였다. 이들은 근대적인 효율성의 관점에서 보면 줄다리기는 하나의 낭비적인 행사에 지나지 않는다고 비판하기도 하였다. 줄다리기의 소멸에는 식민 당국의 민속통제와 더불어 이 같은 지식인의 근대주의 입장에서의 전통에 대한 부정과 폄하도 일정하게 작동하였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In traditional Korea, there were lots of collective matches which we may call festivals these days. Among those collective matches, Dolssawum(Mock fight with stone missiles), Hoetbulssawum (Mock fight with torchlightes) and Juldaligi(Tug of War) were the most favored ones even though they are not much familiar to the people of modern times. However, the collective matches were disappeared through the Japanese imperial period. Therefore,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decline process of the matches, concentrating upon Juldaligi.
    First of all, the status change of Juldaligi and the Japanese Joseon government’s mode of regulations was analyzed objectively through the press news materials. According to them, the stream of the Juldaligi held status was on temporary stoppage when it was prohibited in 1910’s. However, Juldaligi has met its heyday in late 1920’s after it was revived in early 1920’s, and it began to decline until it has been disappeared after 1937.
    Juldaligi wasn’t just exclusively declined and disappeared by the prohibition of the Japanese Joseon government. At least, there was a kind of renaissance period for the large-scale Juldaligi competition in 1920’s. In 1930’s, the frequency of the large-scale Juldaligi competition and the scale of the gallery declined, but there were still the large-scale matches existed. Of course the matches needed the Japanese Joseon government’s approval and they were banned for different reasons repeatedly.
    There was tension and confrontation among the colonial Japanese government, the Korean modern intellectual and the colonial people for the approval of the large-scale Juldaligi competition. The colonial people protested with complaining or expressing their anger to the police who tried to prohibit Juldaligi competitions or reduce the scale of them. However, not all the Korean modern intellectual and the colonial people supported traditional matches such as Juldaligi. Some modern intellectual who pursued modernity under the Japanese imperial period had kept criticized Juldaligi that it has been needed improvement. They also criticized that Juldaligi was just one of wasteful events under the view of the modern efficiency. The disappearance of Juldaligi has been influenced by the denial and derogation to the tradition by some Korean intelectual with modernity as well as the folklore regulation of the Japanese Joseon govern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