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동북·동남아시아 전통 줄다리기의 공유성과 다양성 (Commonality and Diversity of Southeast/Northeast Asian Traditional Tug-of-War)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1 최종저작일 2014.06
27P 미리보기
동북·동남아시아 전통 줄다리기의 공유성과 다양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민속박물관
    · 수록지 정보 : 민속학연구 / 34호 / 137 ~ 163페이지
    · 저자명 : 정연학

    초록

    줄다리기는 세계적으로 분포하나, 집중지역은 동북아시아와 동남아시아이다. 이 글은 동북·동남아시아 각국 전통 줄다리기의 역사, 분포지역, 노는 시기와 목적, 특징 등의 내용 분석을 통해 줄다리기의 공유성과 다양성을 밝히는 것을 그 목적으로 삼았다.
    논문의 본론에서는 줄다리기와 관련된 중요한 주제어 6개를 선정하여, 동북·동남아시아 줄다리기의 공유성과 다양성을 살펴보았다. 그 항목은 ①기원 ②분포 ③줄의 형태 ④줄의 상징과 성적결합 ⑤전승시기 ⑥공동체 등이다. 그리고 결론 부분에서 줄다리기 기원설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였다.
    필자는 이 글에서 줄다리기는 수전(水戰) 군사훈련의 일종으로 시작되었으나, 민간에 전해지면서 마을의 태평을 기원하는 놀이로 발전하다가, 그 이후에 농업과 접목되면서 주술과 종교적 성격이 형성된 것으로 보았다. 줄다리기의 수전(水戰) 기원설은 중국과 베트남의 자료와 영어(a tug of war)와 한자 명칭(葛戰․索戰․鄕戰) 등을 통해 논리를 전개하였다.
    동북·동남아시아 문헌에 등장하는 최초의 줄은 ‘짚’이 아닌 ‘대나무 껍질’, ‘마’, ‘칡’, ‘억새’이다. 따라서 근래의 줄다리기 재료가 ‘볏짚’인 점만을 가지고서 줄다리기를 벼농사 지역과 직접적으로 관련짓는 것은 다소 무리가 있어 보인다. 이 글에서는 해안지역의 줄다리기와 어민들과의 상관관계, 즉 단단한 닻줄 등 뱃줄을 만들 줄 아는 수군(어민)과 칡, 마, 볏짚 등의 재료를 손쉽게 얻을 수 있는 농민의 상호작용에 의해 줄다리기가 발전하게 되었다고 보았다.
    동북·동남아시아 각국의 줄은 외줄과 쌍줄, 게줄 등으로 구분되는데, 동남아시아 경우는 외줄이 주류를 이루고, 동북아시아 중국의 경우는 쌍줄(고문헌)과 게줄다리기, 일본은 외줄과 쌍줄이 동시에 존재한다. 이에 반해 우리나라는 외줄, 쌍줄, 게줄 등 모든 유형이 존재하기에 우리나라를 줄다리기 실크로드의 종착점으로 보았다.
    그밖에 동북·동남아시아 줄다리기에 공통적 특징인 수신(용사), 생식기와 성행위의 모의, 절기놀이와 풍요기원, 마을의 태평과 단합 등과 관련해서는 각국의 사례를 통해 줄다리기의 공유성과 다양성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줄다리기의 기원에 대해서는 중국설, 동남아시아설, 인도설, 자생설 등으로 구분된다. 필자는 중국 기원설에 무게를 두었는데, 줄다리기와 관련된 기록이 가장 이르고, 줄의 형태와 놀이방식, 노는 시기와 목적이 우리나라와 일본과 같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A tug of war is distributed worldwide, but which is concentrated on Southeast and NortheastAsia. This study aims to the commonality and diversity of tug-of-war through analysis oncontents such as history, areas of distribution, time and purpose of the play and characteristics of tug-of-war of Southeast and Northeast Asian countries.
    The main body of this paper selected six key words related to tug-of-war and looked into thecommonality and diversity of tug-of-war of Southeast and Northeast Asia. The items include ①origin; ② distribution; ③ shape of rope; ④ symbol and sexual combination of rope; ⑤ timeof transmission; and ⑥ community. Also, the conclusion summarizes the details of theory onthe origin of tug-of-war.
    The author considered in this paper that it started as a kind of military training for a seabattle, but as it was passed on among the people, it developed as a play of a wish of peaceof the village, and then as it was integrated to agriculture, shamanistic and religiouscharacteristics were formed. The theory of the origin of tug-of-war from a sea battle developedlogic through Chinese and Vietnamese materials, English name (a tug of war) and Chinesenames (葛戰․索戰․鄕戰).
    The rope that first appeared in Southeast and Northeast Asian literature was not ‘rice straw’but ‘bamboo bark’, ‘yam’, ‘arrow root’ or ‘silver grass.’ Thus, it seems somewhat too much torelate tug-of-war directly to rice farming regions only with the fact that the recent material oftug-of-war is ‘rice straw.’ This paper judged that tug-of-war could developed by the interactionbetween tug-of-war in coast areas and fishermen, that is, b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navalforces (fishermen) that knew how to make a boat rope like an anchor cable and farmers whocould easily get materials such as arrow root, yam and rice straw.
    Ropes in Southeast and Northeast Asian countries are divided into single, double and sideropes, and single rope is the majority in Southeast Asia; double rope and side rope tug-of-warin Northeast Asia and China (in old literature); and single and side ropes in Japan. In contrast,since there are all types of rope, such as single rope, double rope, and side rope in Korea, itis seen as the destination of the tug-of-war silk road.
    In addition, regarding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Southeast and Northeast Asiantug-of-war, sea god (dragon and snake), simulation of genital organ and sexual intercourse,seasonal play and wish for abundance, peace and unity of the village, the commonality anddiversity of the tug-of-war were examined through cases of each country.
    Lastly, the origin of tug-of-war is divided into Chinese, Southeast Asian, Indian and nativeorigin. The author put weight on the theory of a Chinese origin since its record related totug-of-war is the earliest, shape of rope and method of play, time and purpose of play are the same as those of Korea and Japa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속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