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토취득과 실효적 지배기준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Acquisition of Territorial Sovereignty and the Effective Occupation Criteria)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1 최종저작일 2009.08
32P 미리보기
영토취득과 실효적 지배기준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국제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법학회논총 / 54권 / 2호 / 59 ~ 90페이지
    · 저자명 : 김채형

    초록

    19세기 유럽강대국들에 의한 식민지지배의 시기에 영토주권의 취득에 관한 법은 유럽의 식민지강대국들의 필요성을 고려하여 발전되었다. 그리고 유럽강대국들의 영토취득에 관한 상호간의 충돌을 피하기 위하여 1884년 개최된 베를린회의에서 실효적 지배를 강조하게 되었다. 이러한 시대 이후 국제사회의 힘의 구조가 급격히 변화하였으며, 영토에 대한 권원을 규율하는 방식과 규칙도 상응한 개혁을 요구하는 변화를 겪게 되었다. 영토취득의 전통적 방식들은 이러한 방식을 만들어 낸 국제사회의 필요성과 요구를 단지 반영하므로, 이러한 전통적 방식들은 변화를 열망하는 현대의 국제공동체의 기대를 충족시키는데 적합하지가 않았다. 현대의 영토분쟁들은 분쟁영토에 대하여 국가들이 경합적인 주권을 주장하는 경우가 많다. 때로는 섬과 같이 멀리 떨어진 영토가 분쟁의 대상이 되는데, 이러한 섬의 중요성은 섬의 고유의 가치보다는 자원의 이용에서 질투와 경쟁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주변지역의 잠재적인 자원의 거대한 가치 때문이다. 그래서 현재의 국제사회에서 필요한 것은 이러한 국제사회의 필요성에 부응할 수 있는 영토질서인 것이다. 그런데 영토에 관한 법의 전통적 질서는 국가들 간의 국경선의 안정을 위한 국가들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우선적으로 영토에 대한 권원을 확립하는 전통적인 방식을 살펴보며, 이후 영토취득의 방식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실효적 지배의 개념과 이러한 개념이 역사적으로 실행된 경우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20세기 초반이후 국제판결에서 실효적 지배의 기준이 어떻게 변화되어 구체적으로 적용되었는가를 검토하고, 마지막으로 도서영유권에 관한 최근의 국제판례에서 실효적 지배의 개념 및 기준이 구체적으로 적용된 판례를 분석하였다. 그런데 국제판례에서 보면 실효적 지배가 분쟁영토의 배타적인 취득을 확립하는 합법적인 수단이라는 것은 논란이 되지 않지만, 특정한 상황에서 무엇이 실효적 지배에 실제로 해당하는 가는 논란의 핵심이 되었다. 실제 분쟁영토의 실효적 지배문제가 관련된 국제재판에서 비교적 더 강력한 증거를 제시하는 국가가 분쟁영토에 대한 권원을 가진 것으로 판결이 되었다. 이러한 접근방식이 본 논문에서 분석한 실효적 지배에 관련된 고전적 국제판례와 최근의 도서영유권에 관한 국제판례에서 분명히 나타난다.

    영어초록

    The traditional prescriptions of the law of territorial acquisition developed a fluid scenario in the nineteenth century when the European powers were actively competing for acquisition of territory in foreign lands for the purpose of colonization and economic domination.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the law on the acquisition of sovereignty over territory took into account, in different forms, the needs only of the European colonizing powers in their relations inter se. However, these inter se claims based on inchoate title remained ineffective until the colonizing powers acquired the necessary capabilities to back them up by acts of effective occupation. Thus, the Berlin Congress of 1884 laid a heavy stress on the requirement of effective occupation, making no distinction whether the territory was terra nullius or not, or whether it was inhabited or uninhabited. The power structure of world society since then has undergone radical changes requiring corresponding reforms in the modalities and prescriptions governing title to territory. Inasmuch as the traditional modes of acquiring territory reflect only the needs and requirements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which created them, they are inadequate to meet the expectations of the contemporary international community, which aspires for change. Modern territorial disputes often involve competitive claims by states invoking possession of the disputed territory.
    Occasionally, isolated territories such as islands are the subject of dispute, but their importance is not so much due to the intrinsic value of the land as due to the enormous value of the potential resources in the surrounding areas generating jealously and competition in the use of the resources. Thus, what is needed is a territorial order which will be adequate to the needs of such a society. The traditional rules of the law of territory do not answer the needs of states for stability of their territories.
    In this paper, first of all, I review the traditional modes for establishing the title to territory, analyse the perception of effective occupation which has the important position in the modes of acquiring the sovereignty over territory and the historical practices of this perception. Thereafter I reviewed how the criteria of effective occupation is changed at the judgments by international courts and tribunals since early twentieth century and analysed after all the four judgments in which the perception and the criteria of effective occupation were applied at the recent international judgments related to the sovereignty over islands. While it is undisputed that effective occupation is a lawful mode of establishing exclusive acquisition of the disputed territory at the judgments by international courts and tribunals, the real bone of contention is about what really amounts to effective occupation in a given situation. Actually, in the proceedings about the reality of the effective occupation of the disputed territory, the one who adduced relatively stronger evidence was awarded the title to territory. This approach clearly appears at the judgments related to the effective occupation by international courts and tribunals which are analysed in this pap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제법학회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