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위탁매매(준위탁매매)와 부가가치세 (Consignment Sales(Quasi-Consignment Sales) and Value Added Tax)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6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1 최종저작일 2024.08
61P 미리보기
위탁매매(준위탁매매)와 부가가치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세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세법연구 / 30권 / 2호 / 359 ~ 419페이지
    · 저자명 : 김종신

    초록

    법 제10조 제7항 단서 등 현행 위탁매매 관련 규정은 그 문언과 체계상 해석이 곤란한 부분이 일부 존재하는데, 이에 관한 입법적 보완이 필요하다. 특히, 법 제10조 제7항 단서의 ‘위탁자를 알 수 없는 경우’는 부가가치세 납세의무자를 가르는 중요한 기준이 되는 내용임에도 그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현행 시행령 조항만으로는 불분명한 면이 있으므로, 이에 관하여 보다 명확하게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
    실무상으로 (준)위탁매매 해당 여부가 쟁점이 되는 경우가 많은데, 용역의 공급을 주선하는 준위탁매매의 경우 위탁자에서 수탁자로의 재화(유형물)의 이전이 없고 공급 대상 용역의 형태에도 제한이 없다는 점에서 해당 용역이 준위탁매매로 공급되는 것인지 구분하기가 쉽지 않다. 특히, 이는 어떠한 사업을 통째로 위탁하여 운영하도록 하는 독점적․포괄적인 위․수탁계약의 경우 더욱 그러하다. 통상 준위탁매매에 부합하는 정황과 반대 정황이 혼재되어 있는데, 그 구별의 핵심은 해당 용역의 공급이 위탁자의 계산으로 이루어졌는지, 즉 전체적으로 사업의 손익(비용 포함)과 위험을 위탁자가 부담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는지가 되어야 하고, 주로는 위탁자와 수탁자 간 내부의 정산관계를 들여다보아야 알 수 있다. 부수적으로는 계약서의 문언, 법인세 등 신고내역, 기반설비 등의 소유관계, 통지의무 및 계산서제출의무 부담 여부, 위탁자에 의한 광범위한 관리․감독권의 행사 여부, 가격결정권한의 귀속관계 등도 아울러 고려하여야 한다.
    사업의 위․수탁관계에 있어, 수탁자가 그 명의로 계약을 체결하였다거나 용역 공급에 필요한 법률적․사실적 행위를 주도하였다는 사정을 들어 준위탁매매의 성립을 부정하거나 그 공급자를 수탁자로 단정 짓는 일부 실무상의 경향이 있으나, 위와 같은 사정들은 수탁자가 그 명의로 거래에 나서는 준위탁매매에 있어 당연한 것이므로, 준위탁매매 인정에 방해가 되는 것이 아니다. 사업의 포괄적 위․수탁관계에 있어서도 법 제10조 제7항의 특례성을 감안하여 내부적 정산관계를 중심으로 준위탁매매 해당 여부를 검토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다만, 위탁매매에 관한 부가가치세법 제10조 제7항은 재화 등의 공급이라는 거래 그 자체를 과세 대상으로 삼는 부가가치세 분야에서 그 경제적 실질을 따져 과세 여부(납세의무자 해당 여부)를 결정하는 이례적인 규정이다. 거래세적 성격에 배치되는 해당 규정은 거래당사자의 예측 가능성과 과세징수의 효율성을 떨어뜨린다는 점에서 입법론상 적절하지 않다. 납세의무자를 원칙적으로 (준)위탁매매인으로, 예외적으로 위탁자로 보는 방향으로 개정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The current provisions related to consignment sales, including Article 10, Paragraph 7 proviso, have certain ambiguities in their wording and structure, which necessitate legislative amendments for clarification. In particular, the clause "cases where consignor is unknown" in Article 10, Paragraph 7 proviso is a critical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taxpayer responsible for value-added tax (VAT). However, the current wording alone does not clearly define its meaning, necessitating a more precise clarification.
    In practical terms, determining whether a transaction qualifies as (quasi) consignment sales is often a contentious issue. This is particularly challenging in cases involving service provision, where there is no transfer of goods (tangible items) from the consignor to the consignee, and there are no restrictions on the form of services provided. This ambiguity makes it difficult to differentiate whether the transaction should be classified as quasi- consignment sales. In particular, distinguishing whether a comprehensive exclusive subcontracting agreement, where an entire business operation is outsourced, qualifies as quasi-consignment sales is even more challenging.
    In general, there are mixed circumstances where a transaction may or may not be considered quasi-consignment sales. The key distinction lies in evaluating whether the consignor bears the economic burden of supplying the service, meaning whether they assume the business's profits (including costs) and risks. This assessment primarily requires examining the internal settl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ignor and the consignee. Additionally, factors such as the wording of contracts, corporate tax filings, ownership of infrastructure, obligations regarding notification and invoice submission, the extent of management and supervisory authority exercised by the consignor, and the allocation of pricing authority also need to be considered to determine this distinction.
    However, Article 10, Paragraph 7, regarding consignment sales, is an exceptional provision within the field of VAT that determines the taxation of the transaction itself, which is the supply of goods or services. This provision, which deviates from the transactional nature of VAT, undermines predictability for the parties involved and reduces the efficiency of tax collection. From a legislative perspective, it is not appropriate. The law should be amended to place the tax obligation primarily on the consignee, with exceptions for the consigno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세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