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골의 작품세계에 나타난 종말론적 세계관의 변화 고찰: 『죽은 혼』제2권의 판본들 간의 차이와 반복을 중심으로 (Changes of Gogol’s Eschatological Worldviews in his Artworks: with a Focus on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in the Early and Final Versions of the Second Volume of Dead Souls)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1 최종저작일 2012.09
33P 미리보기
고골의 작품세계에 나타난 종말론적 세계관의 변화 고찰: 『죽은 혼』제2권의 판본들 간의 차이와 반복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노어노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노어노문학 / 24권 / 3호 / 175 ~ 207페이지
    · 저자명 : 이경완

    초록

    본고는 성서적 종말론의 시각에서 고골의 기독교-신화적 종말론의 흐름을 파악하며 그 반복되는 요소와 차이점을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그의 마지막 작품인 『죽은 혼』제2권의 두 판본을 비교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그의 기독교-신화적 종말론의 흐름을 파악해보면, 고골은 유년 시절에 각인된 우크라이나-러시아 바로크의 신중심적인 종말론과 10대에 접하기 시작한 낭만주의의 마성주의의 염세적인 세계관을 형성한다. 지상에서 악마의 강한 지배력과 극복하기 어려운 유혹, 인간의 나약한 본성과 비속함으로 인한 악마의 유혹에의 굴복, 인간의 불행에 아랑곳하지 않고 멀리 숨어있는 하나님에 대한 두려움과 공포, 그럼에도 하나님의 정의 실현에 대한 막연한 기대 등이 이 시기 우크라이나-러시아 정교의 특이한 형태인 우크라이나-러시아 바로크 종말론의 주요 이념들이다. 이 이념들은 『죽은 혼』 제1권 이전의 작품들에서 주제, 인물, 구성 등에 다양한 방식으로 반영된다.
    이후 고골은 주로 로마에 체류 기간에, 인간이 “이미 구원된, 그러나 아직 구원받지 못한” 상태에 있다는 단테의 복합적인 종말론, 러시아 정교의 세대주의적인 전천년설, 이탈리아 르네상스와 바로크의 신비주의적인 변형(transformation)과 신성으로의 상승, 기독교 후천년설과 유사한 근대의 진보주의 등의 영향을 받는다. 그래서 『죽은 혼』 제1권에서는 신플라톤주의적인 변형에 대한 낙관적인 기대가 보다 강해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이 지옥 편에서는 어떤 인물도 구원이나 변형을 체험하지 못하고, 위기와 재난을 통해 신성으로 변형될 수 있다는 주제의식도 강화되는 것을 볼 때, 이전의 염세적인 종말론이 이 작품에서도 여전히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어 10여년 간 고골은 『죽은 혼』 제2권을 창작하기 위하여 성서와 종교텍스트들을 섭렵하면서 종교적 자기훈련의 길을 걷는다. 그 과정에서 발표되는 『죽은 혼』 제2권의 두 판본을 비교해 볼 때, 고골의 종말론이 보다 신중심적이고 인간의 영적, 윤리적인 결단과 실천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변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그가 도달하는 최종의 종말론은 성서적 인간관을 보다 많이 반영하고, 사회제도와 인간의 심리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와 성찰을 담고 있다. 위기와 재난, 고통과 시련 속에서 변형의 가능성이 커지게 마련이고, 인간의 의식적인 자기훈련과 윤리적, 사회적 실천이 결정적으로 중요하며, 사회제도를 통해 악마가 인간 삶에 개입하고, 러시아의 현실에 대한 경험적 지혜를 통해 자생적인 경제 기반을 마련해가야 한다는 고골의 이념들이 보다 객관화, 유형화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결국 고골은 초기부터 마지막 시기까지 다양한 종말론들의 영향을 받으며 성서적 개념이 강화되는 방향으로 기독교-신화적 종말론을 형성해갔다. 그러나 그의 종말론에는 여전히 비기독교적인 신화적 요소들도 강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그의 시각은 양가적이고 모순된 상태에 머물러 있다. 그의 구원과 변형, 그리고 종말에 대한 관점들이 제2권의 두 판본의 불완전한 상태와 어떤 연관성을 갖고 있지는 않은지를 규명하는 작업도 의미가 있으리라 생각된다.

    영어초록

    Gogol was committed to establishing his own Christian-mythical eschatological worldviews under the influence of several Christian-mythical worldviews on men’s salvation and transformation, including Ukraine-Russian Baroque eschatology in his early stage until his departure to Europe in 1836, and more Neo-platonic eschatological variants in his middle stage until the publication of the first volume of Dead Souls in 1842. The latter variants include Dante’s complicated Catholic eschatology, Italian Renaissance and Baroque optimistic worldviews, Russian Orthodox eschatology, including the ideas of Russian Messianism and human creatures’ transfiguration in the earth, and modern anthropocentric utopianism, etc. All of them were intermingled into Gogol’s eclectic and ambiguous eschatological worldviews. In particular, in the period of his creation and publication of the 1st volume of Dead Souls, the Dante’s neo-Platonic eschatological ideas are reflected complicatedly in eschatological theme, figures’ characteristics, and author-narrator’s description tone in the first volume of Dead Souls.
    However, even in this text, the early-embedded framework of Gogol’s Ukraine-Russian Baroque eschatology, characterized by theocentrism, pessimistic view of humanity, and rather ambiguous perception of God as cruel and indifferent to humanity, suffering from Satan’s shrewd intervention into the earth, remains the same, which is reflected on the failure of transfiguration of characters in crucial situation and on the acknowledgement of recurring risks and disasters as drives to figures for transfiguration.
    In the second volume of Dead Souls, Gogol tried to establish a more systematic Christian eschatology through his avid reading of the Bible and classical Christian texts, and continuous self-discipline according to the Christian texts. As a result, on the one hand, he could emphasize the positive role of risks and disasters; significance of humans’ personal resolution and practice of God’s Words on the daily basis; the high possibilities of evil spirits penetrating human lives through social structures and institutions; and the higher possibilities of humans overcoming evil powers through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good structures like good words.
    However, Gogol’s ultimate eschatology addressed by Murazov and the Young Prince in the final chapter of the last version of the second volume reveals Gogol’s lack of understanding some essential biblical ideas: the complete harmonization of justice and grace in triune God; Christocentrism in humans’ salvation; the coming of new Jerusalem at the end of the world, etc. Gogol seems inclined into activity-based eschatology than grace-based one, characterized by humans’ justification by his belief in the Jesus’ Blood in the Cross.
    Gogol seems to have left big tasks to resolve his unsolved problem of how modern men could reach the salvation or transfiguration by reconstructing all ambiguous Christian-mythical idea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