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두 판본을 비교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그의 기독교-신화적 종말론의 흐름을 파악해보면, 고골은 유년 시절에 각인된 우크라이나-러시아바로크의 신중심적인 종말론과 10대에 접하기 ... 이나-러시아바로크종말론의 주요 이념들이다. 이 이념들은 『죽은 혼』 제1권 이전의 작품들에서 주제, 인물, 구성 등에 다양한 방식으로 반영된다.이후 고골은 주로 로마에 체류 기간 ... 의 불행에 아랑곳하지 않고 멀리 숨어있는 하나님에 대한 두려움과 공포, 그럼에도 하나님의 정의 실현에 대한 막연한 기대 등이 이 시기 우크라이나-러시아 정교의 특이한 형태인 우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