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아리엘 도르프만의 희곡 『죽음과 소녀』와 『연옥』에 나타난 메데이아 신화의 해체적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constructive Utilization of the Medea Myth in Ariel Dorfman's Plays 『Death and the Maiden』 and 『Purgatorio』)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1 최종저작일 2025.06
16P 미리보기
아리엘 도르프만의 희곡 『죽음과 소녀』와 『연옥』에 나타난 메데이아 신화의 해체적 활용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예술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예술교육연구 / 23권 / 2호 / 195 ~ 210페이지
    · 저자명 : 송아람, 최재오

    초록

    본 연구는 아리엘 도르프만의 희곡 『죽음과 소녀』와 『연옥』에 나타나는 메데이아 신화의 해체적 활용을 고 찰한다. 두 작품은 트라우마와 치유라는 주제적 측면에서 연결되어 복수와 용서라는 내면적 갈등과 관계의 변 화를 다룬다. 이에 본 연구는 메데이아 신화라는 렌즈를 통해 신화 원형이 현대 희곡 속에서 어떻게 재해석·재 구성 되었으며, 끊임없는 해체적 활용을 통하여 어떠한 가치를 창출했는지를 분석한다. 텍스트 분석과 문헌 연 구에 기반하여 메데이아 원형 신화와 에우리피데스의 『메데이아』, 도르프만의 두 작품의 서사 및 인물, 대사, 지문을 비교하여, 주제적 진화를 살펴보았다, 신화 해체는 텍스트의 구조적 해석을 넘어 과거와 현재의 대화를 가능하게 하며 다층적 해석 가능성을 제시한다. 개인의 배신과 복수라는 원형 서사를 현대적 맥락에서 재정의 하여 사회적 윤리와 갈등이라는 공동체의 복수 서사로 확장시키고, 이를 용서와 치유, 화해의 가능성이라는 주 제로 진화시켜, 신화가 오늘날의 인간과 사회를 이해하는 데 여전히 유효한 해석의 틀임을 보여준다. 이처럼 신화적 상상력의 지속성과 현대적 의미·가치, 활용법을 고찰하였다. 도르프만의 두 작품에 한정하여 분석을 진 행하였기에 보편성과 다양성을 포괄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한계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치적·역사적 알레 고리 중심으로 해석되던 도르프만의 작품을 신화 원형 분석을 통해 새로운 관점에서 바라보았다는 의의를 지 닌다. 본 연구를 기점으로 하여 예술분야에서 신화가 현대 사회의 윤리, 트라우마, 미래 지향적 가치 형성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에 대한 심층적인 논의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deconstructive utilization of the Medea myth in Ariel Dorfman's plays 『Death and the Maiden』 and 『Purgatorio』. Both works are thematically connected through trauma and healing, addressing inner conflicts of revenge and forgiveness, as well as transformational relationships. Through the lens of the Medea myth, this research analyzes how mythic archetypes are reinterpreted and reconstructed in contemporary drama, and what values are created through con- tinuous deconstructive application. Based on textual analysis and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com- pares the narratives, characters, dialogues, and stage directions of the original Medea myth, Euripides' 『Medea』, and Dorfman's two works to examine thematic evolution. Mythic deconstruction transcends structural interpretation of texts, enabling dialogue between past and present while pre- senting multi-layered interpretive possibilities. The archetypal narrative of personal betrayal and re- venge is redefined in contemporary contexts, expanding into communal revenge narratives of social ethics and conflict, which then evolve into themes of forgiveness, healing, and the possibility of reconciliation. This demonstrates that myth remains a valid interpretive framework for understanding contemporary humanity and society. The study thus examines the continuity of mythic imagination and its contemporary meaning, value, and application. The analysis was limited to Dorfman's two works, which presents limitations in terms of not encompassing universality and diversity. Nevertheless,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in viewing Dorfman's works, which have been primarily in- terpreted through political and historical allegory, from a new perspective through mythic archetypal analysis. Building upon this research, it is hoped that in-depth discussions will be conducted on how myth can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ethics, trauma healing, and future-oriented values in con- temporary society within the ar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예술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