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호남 서부지역 원삼국∼삼국시대 수혈주거지의 취사 공간 연구 (A Study on Cooking Space in the Pit Dwellings from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to Three Kingdoms Period in the Western Honam)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1 최종저작일 2022.07
36P 미리보기
호남 서부지역 원삼국∼삼국시대 수혈주거지의 취사 공간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한국문화유산협회
    · 수록지 정보 : 야외고고학 / 44호 / 5 ~ 40페이지
    · 저자명 : 김은정

    초록

    이 글의 목적은 호남 서부지역 원삼국∼삼국시대 수혈주거지에 남겨진 부뚜막과 연도, 취사기, 식기, 저장기, 그리고 식물 유체 등을 분석하여 당시 취사 및 식문화의 일면을 복원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기존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주거지 세부 속성 및 출토유물의 부장 양상을 고려하여 호남 서부지역 원삼국∼삼국시대 수혈주거지의 분기 및 연대를 Ⅰ∼Ⅱ기로 구분한 후 자료를 검토하였다. Ⅱ기는 마한사회의 물질문화가 백제와의 관계 속에서 변화가 나타나는 시기이다.
    점토와 솥(장란형토기), 솥받침, 연도 등으로 구성된 마한의 부뚜막은 단순히 음식을 끊는 방식으로 조리할 뿐만 아니라 솥과 시루를 활용하여 쪄낼 수 있게 했던 취사 시스템이었다. 이러한 취사 시스템을 통해 나타난 취사 방식의 다변화는 좀 더 다양한 식재료를 활용한 음식을 섭취할 수 있게 해주었고 이는 당시 사람들의 영양 상태에까지 긍정적인 효과를 주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면서 부뚜막 주변으로는 취사기와 식재료 보관을 위한 저장기 등이 자연스럽게 자리하게 되고 주거 내 취사 공간이 부뚜막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던 것으로 이해된다. 이에 더하여 부뚜막에 부가된 연도는 추운 겨울을 지낼 수 있도록 취사 시 발생한 열기를 집안에잠시 머물게 해줌으로써 난방까지 겸할 수 있게 해주었다.
    이와 같은 부뚜막은 마한시기에 점토 구조물로 만들어지다가 백제의 영향이 있던 시기부터는 석재를 부뚜막 구축에 사용하거나, 기반토를 굴착하여 부뚜막의 양 벽과 배연 시설을마련한 것이 등장한다. 특히 배연을 위한 목적으로 주거지 안쪽 벽에 시설되었던 연도가주거지 밖에 배치되는 것도 특징적이며, 아궁이에 부착했던 토제품(아궁이테) 역시 새롭게등장하는 것을 살펴 볼 수 있다.
    이러한 변화가 나타나는 주거지에서는 솥으로 사용된 장란형토기나 시루에서도 세부 형태와 타날방식에서 변화가 간취될 뿐만 아니라 백제의 대표 기종인 개배, 고배, 삼족토기등이 함께 발견된다. 이는 마한사회의 취사 공간이 백제와의 관계 속에서 전환이 이루어지고 발전되어 갔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tore one aspect of cooking and food culture at the time by analyzing fireplaces, flues, cooking utensils, tableware, storage containers, and plant remains in the pit dwellings from the Proto-Three Kingdoms to Three Kingdoms Period in the western Honam.
    To this end, this study divided quarter and period of the pit dwellings from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to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the western Honam, into Period I and Period II,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results, in consideration of the detailed properties of the dwellings and the burial aspect of excavated relics, then it reviewed the data. Period II is a period in which the material culture of Mahan society changed in its relationships with Baekje.
    Mahan’s cooking fireplace, which consisted of clay, pot(egg-shaped pottery), pot stand, and flue, was a cooking system that not merely boiled but also steamed food using a pot and a steamer. The diversification of cooking methods identified from this cooking system made it possible to eat food using more diverse ingredients, which seems to hav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eople’s nutritional status at that time.
    It is understood that cooking and food storage containers were naturally located around cooking fireplaces, and the cooking space in dwellings was formed around cooking fireplaces. In addition, a flue added to the cooking fireplace let the heat generated during cooking stay in a house for a while so that it can also serve as heating in cold winter.
    These cooking fireplaces were made of clay structures during the Mahan period, but from the period that was influenced by Baekje, stone was used to build cooking fireplaces, or bedrock was excavated to install the both walls of furnaces and smoke exhaustion facilities. In particular, it is characteristic that the flue, which had been installed on the inner wall of the dwelling for the purpose of smoke exhaustion, was placed outside the dwelling, and earthenware (fireplace rim) attached to the fireplace also newly appeared.
    In the dwellings where these changes occurred, not only changes in the detailed shape and tanal(paddling/beating technique) of egg-shaped pottery or steamers used as a pot, but also the representative pottery types of Baekje, such as Gaebae, Gobae, and Samjok, were found. This suggests that the cooking space of Mahan society was transformed and developed in relationships with Baekj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