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종 친정 주도세력의 개방 정책 추진과 조일수호조규 체결 (King Gojong’s advocacy force’s pushing forward with an open-door policy and the effect of the conclusion of a Korean-Japan Treaty of 1876)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7.01 최종저작일 2020.04
35P 미리보기
고종 친정 주도세력의 개방 정책 추진과 조일수호조규 체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역사실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 실학 / 71호 / 255 ~ 289페이지
    · 저자명 : 한보람

    초록

    조일수호조규의 체결은 조선이 근대 국제법 체제로 들어가는 첫걸음으로 주목되어 왔다. 당시 조약의 체결을 주도한 세력은 박규수로 대표되는 시무개혁 세력과 이유원으로 대표되는 기존 관료세력으로, 이들은 1862년 농민항쟁의 수습과 세도정권의 교체, 대원군 실각과 고종의 친정 등 19세기 조선 집권층이 걸어온 정치 노선을 대표하는 존재였다. 이들이 가지고 있었던 현실에 대한 이해는 사림정치의 이상을 추구하며 발전한 조선의 전통적 정치 문화와 사상의 범위를 뛰어 넘는 것은 아니었다. 이들은 전통적 세계관 속에서 연합하여 고종의 친정을 주도하고 친정 정부에 참여하였다. 또한 대원군의 강경한 척화론이 불러올 수 있는 전쟁의 위험을 우려하였고, 일본 서계의 접수를 주장하며 일본에 대한 개방 정책을 추진하였다. 일본의 요구에 대응하는 데 있어 이들이 가지고 있었던 정책 목표는 무력충돌의 방지를 통한 민생의 안정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일본과 협상 자리에 조선측 대표로 외교관이 아닌 무관 신헌이 파견되었으며, 조일수호조규 체결 과정에서 보여준 조선 정부의 대응은 평화 관계 유지라는 정책 목표 하에 일본의 침략 시도에는 단호하게 대처한다는 강력한 대응책이 함께하고 있는 것이었다. 협상의 현장에서 전견 대관 신헌은 이러한 조선 정부의 입장을 충실히 구현하였으며, 평화적인 결말을 이끌어 냈다. 이로써 고종의 친정을 이끌었던 조선 집권층의 목표는 달성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e signing of the Korea-Japan Treaty has been noted as a first step into the modern international law system. However, those who led the signing of the treaty were the reformists, represented by Park Gyu-su, and the existing bureaucrats, represented by Lee Yoo-won. They represented the ruling cliques’ political line in Joseon in the 19th century, including handling of the farmers' uprising in 1862, the replacement of clan politics, and Daewon-gun’s fall and King Gojong’s direct ruling. Their understanding of the reality did not go beyond the scope of Joseon's traditional political culture and ideas that was developed in pursuit of the ideals of Sarim politics. They united and participated in King Gojong’s directly ruling government sticking to the conservative worldview. Also, King Gojong’s advocacy force concerned about the danger of a war that Daewongun's firm stance toward the rejection of negotiations could lead to; therefore, they asserted that Joseon accept the letter from Japan and carried forward an open-door policy toward Japan. Their first goal was to stabilize the people's livelihood by preventing armed conflict. Thus, they dispatched Sin Heon, who was a military officer and not a diplomat. The Joseon government's response to the signing of the Korea-Japan Treaty was based on the basic principle of maintaining a peaceful relationship along with a strong countermeasure against invasions. In this negotiation situation, Sin Heon, who was the chief negotiator, carried out his duties faithfully based on the Joseon government’s stance. The goal of Joseon's ruling elites who led King Gojong's direct ruling could be achieved by drawing a peaceful conclus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 실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8 오후